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초급 #25 평면서피스에 의한 DRF 구축과정 아래 그림의 파트는 홀 2개가 위치공차로 규제되어 있다. 위치공차를 규제하기 위해 데이텀 피쳐 A, B, C가 차례로 참조되어 있다. 데이텀 피쳐 A, B, C는 평면 서피스이다. 평면 서피스 3개로 DRF가 형성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자. 1차 데이텀 피쳐FCF에 첫번째로 표기된 피쳐는 1차 데이텀 피쳐가 된다. 1차 데이텀 피쳐가 평면서피스면, 이 평면서피스는 DRF의 첫번째 평면의 위치를 정한다. DRF의 다른 두 평면이 이 평면에 수직하기 때문에 첫번째 평면의 위치는 중요하다.1차 데이텀 피쳐는 바닥면이다. 바닥면은 슬롯에 의해 3개로 나누어진 서피스이다. 데이텀 피쳐 A의 FCF와 데이텀 피쳐 심볼에 “3X”가 표기되어 있다. 이는 서피스 3개가 데이텀 피쳐 A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위치공차.. 더보기
초급 #23 데이텀을 통해 공차영역 사이의 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치수공차가 가지고 있는 가장 본질적인 문제는 공차 사이의 관계를 정의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치수공차는 파트의 높이와 너비 자체는 통제할 수 있지만 파트의 높이와 너비가 서로 수직이 요구됨을 나타낼 수 없고, 따라서 이를 보장할 수도 없다.그림에서 평행공차는 데이텀 A로 표시된 A면에 평행이 요구됨을 나타내고, 평행공차를 통해 평행관계를 보장할 수 있다. 수직공차는 A면에 수직이 요구됨을 나타내고, 수직공차를 통해 수직관계를 보장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윤곽공차는 데이텀 A를 먼저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바닥면인 A면과 수직인 관계를 정의하며, 옆면인 B면과 정해진 거리에 위치할 것을 보장한다. 이는 데이텀 피쳐 B를 참조하고 베이직 치수 30이 정의되어 있기 때문이다.이렇게 .. 더보기
초급 #19 회전서피스 공차영역의 자유도 제한 회전 서피스는 어떻게 통제해야 할까? 어떤 기하공차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통제하는 내용이 달라진다. 기하공차의 종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자.회전서피스는 진통공차, 수직공차, 윤곽공차를 사용하여 통제할 수 있다. 세 공차가 모두 회전서피스를 통제할 수 있다. 하지만 공차의 종류에 따라 통제하는 내용이 달라진다.먼저 진통공차를 살펴보자. 그림의 진통공차는 폭이 0.5인 공차영역을 생성한다. 진통공차는 피쳐 자신의 모양만을 평가한다. 따라서 다른 피쳐와 비교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지 않는다. 진통공차에 의해 생기는 공차영역은 모든 자유도가 구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진통공차에 의해 생기는 공차영역은 공간상에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 더보기
초급 #18 평면서피스 공차영역의 자유도 제한 평면서피스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규제할 수 있다. 하지만 기하공차 종류에 따라 통제하는 내용은 달라진다.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평면공차, 평행공차, 윤곽공차를 사용하여 통제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동일한 평면서피스를 평면공차로 0.3으로 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텀 피쳐 A를 참조하면서 평행공차 0.3으로 통제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면서 베이직 치수 10를 정의하고 윤곽공차 0.3으로 통제할 수도 있다. 평면공차는 너비가 0.3인 평행평면 공차영역을 생성한다. 평행공차는 평면공차와 동일한 공차영역을 생성하지만 데이텀 A에 평행해야 하는 조건이 추가된다. 윤곽공차는 평행공차와 동일한 공차영역을 생성하지만 데이텀 A에서 10만큼만 떨어져 있어야 하는 조건이 추가된다. 입체는 6자유.. 더보기
초급 #16 데이텀 피쳐의 형상에 따라 제한되는 자유도가 달라진다. 데이텀 피쳐의 형상에 따라 제한되는 자유도가 달라진다. 자유도를 어떻게 제한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도면에서 다음과 같은 형상의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선정하였다. 실제 파트는 다음과 같이 완벽하지 않은 형상으로 만들어질 것이다.완벽하지 않은 형상을 다음과 같이 완벽한 형상으로 추상화한다.이렇게 추상화된 완벽한 형상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데이텀을 유도한다.데이텀은 기하학적 기본요소인 점, 선, 면으로 이루어진다. 구는 점이 도출된다. 원기둥은 선이 도출된다. 평면은 면이 도출된다. 원뿔은 데이텀 점과 데이텀 선을 유도한다. 삼각기둥은 데이텀 점과 데이텀 면을 유도한다. 마지막 형상은 데이텀 점, 데이텀 선, 데이텀 면을 모두 유도한다. 그림에는 데이텀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데이텀 .. 더보기
초급 #13 데이텀 피쳐의 요건 - 물리적이어야 한다. 왜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사용해야 할까?물리적인 피쳐가 아닌 중심축이나 중심평면을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음과 같은 파트를 제작하려고 한다.  파트의 형상을 통제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데이텀을 설정하고 흔들림공차를 규제하였다.실제 피쳐는 다음과 같이 중심축이 정렬되어 있지 않을 것이다. 데이텀으로 지정한 중심축이 원통 5개에 의해 5개가 생성된다. 그렇다면 원통 5개에 의한 중심축 중에서 어떤 것을 데이텀으로 사용해야 할까? 정답은 "알 수 없다."다. 도면은 어떤 것을 기준이 되는 중심축으로 사용해야 하는지 명시하고 있지 않다. 원통 5개를 통과하면서 중심축이 여러 개 생성되고, 서로 다른 직경의 원통마다 중심축이 생성되기 때문에 데이텀 축을 정하는 방법을 하나로 확정할.. 더보기
초급 #10 평면 서피스의 통제 - 3차원과 2차원 공차영역 평면서피스의 면을 전체로서가 아니라 각각의 선을 개별적으로 통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보통은 3차원의 공차영역을 정의하고 이를 전체로서 통제한다.평면공차, 평행공차, 윤곽공차는 일정한 너비만큼 떨어진 두 개의 평행한 평면에 의해 생성되는 3차원 공차영역을 생성한다. 그리고 3차원 공차영역은 서피스의 편차를 전체로서 통제한다. 평면공차, 평행공차, 윤곽공차는 모두 동일한 형상의 공차영역을 형성하지만 평면공차, 평행공차, 윤곽공차는 자유도가 구속되는 범위가 다른 차이가 있다. 공차영역을 3차원이 아닌 2차원의 모음으로 정의하여 규제하면 전체로서가 아니라 각각의 선을 개별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필요하다면 2차원 공차영역을 겹쳐 2차원 공차영역의 모음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3차원 공차영역은 전체로서 파트의 .. 더보기
초급 #07 윤곽공차는 ..... 할 수 있다. 윤곽공차는 어떤 형태의 피쳐도 통제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공차는 평면이거나 회전 중심축이 있어야 하거나 사이즈 피쳐여야 하는 등 특정한 형태의 피쳐만을 통제하지만 윤곽공차는 그렇지 않다. 윤곽공차를 하나만 정의해서 파트의 모든 피쳐를 통제할 수 있기도 하다. 하지만 당연히 공차는 기능적인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경제성이 있도록 정의해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피쳐는 적절한 종류의 공차로 필요한 만큼 통제해야 한다. 또한 윤곽공차는 피쳐를 다양하게 규제할 수 있다. 단독 피쳐에 윤곽공차가 적용하여 모양만을 통제할 수도 있고, 모양과 자세를 함께 통제할 수도 있고, 모양, 자세, 위치를 함께 통제할 수도 있다. 홀이나 슬롯과 같은 닫힌 사이즈 피쳐를 규제한다면, 사이즈까지 규제할 수 있다. 사이즈는 윤곽공차에.. 더보기
초급 #06 모양, 자세, 위치의 통제는 서로 위계가 있다. 각각 서로 다른 서피스 편차를 가지고 있는 실제로 생산된 파트 3개가 있다.각각의 파트들이 공차의 크기가 0.3으로 같은 평면공차, 평행공차, 윤곽공차를 만족하는지 살펴보자.먼저 평면공차를 살펴보자.평면공차영역은 병진이동과 회전이동이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편차를 수용하기 위해 위아래로 움직이고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공차영역을 위아래로 움직이고 회전해보면 3개의 파트의 서피스 편차가 모두 공차영역안에 있다. 따라서 3개의 파트는 모두 평면공차를 만족한다.다음으로 평행공차를 살펴보자.평행공차영역은 병진이동은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편차를 수용하기 위해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회전이동은 구속되기 때문에 회전은 할 수 없다. 공차영역의 자세는 고정되지만 공차영역의 위치는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공.. 더보기
MMC(LMC)는 특정재료상태를 말한다. "MMC는 알겠는데 MMC는 모르겠어.""MMC가 최대재료상태인거는 알겠는데 그걸 왜 쓰는건지 모르겠어.""MMC가 표기된 건 알겠는데 그래서 어떻다는건지 모르겠어." MMC가 최대재료상태를 말하는 것은 알겠다. 심볼 Ⓜ︎ 표기가 MMC를 말한다는 것도 알겠다.하지만 치수한계값 중 하나를 MMC라고 하고, FCF에 있는 Ⓜ︎도 MMC라고 한다.모두 MMC라고 하는데, 같은건가? 다른건가?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MMC(LMC)가 특정한 상태를 말한다고 생각해보자.MMC : 최대재료상태 (Maximum Material Condition)의 약어LMC  : 최소재료상태 (Least Material Condition)의 약어 MMC(LMC)는 피쳐의 특정한 재료상태를 말한다. MMC는 재료가 최대가 되는.. 더보기
ASME Y14.5-2009 번역자료 보내드립니다. ASME Y14.5-2009 번역자료 보내드립니다.제가 번역한 버전입니다. 그림은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림은 원문자료를 참고하세요.필요하신 분은 다음의 링크 양식을 작성하여 요청해주세요.https://forms.gle/6asTtdrbjRWu6iGJA ASME Y14.5 번역자료 요청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번역자료가 필요하시면 다음 내용을 작성해주세요. 작성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도움이 되실만한 기하공차 관련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docs.google.com 더보기
기초 #27 AME(Actual Mating Envelope) 실제 홀은 완벽하지 않은데 사이즈를 어떻게 결정할까? GD&T는 완벽하지 않은 실제 홀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을 명확하게 제시한다.이를 위해 AME(Actual mating envelop)라는 개념이 필요하다.  AME의 형상Actual mating envelop(AME)의 형상은 완벽하지 않은 실제 피쳐의 완벽한 반대형상이다.AME의 사이즈AME의 사이즈는 실제 피쳐의 가장 높은 점에 닿을 때까지 키우거나 줄여서 정해진다. 홀과 같이 내부가 빈 내피쳐라면 피쳐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원통의 크기를 키우는데,원통이 서피스의 가장 높은 점에 닿을 때까지 원통의 사이즈를 키운다. 핀과 같은 내부가 채워져 있는 피쳐라면 핀의 바깥쪽에서 안쪽방향으로 원통의 사이즈를 줄인다.그리고 그 원통이 서피스의 가장 높은 .. 더보기
기초 #26 데이텀 피쳐에 의해 공차영역의 자유도가 제한된다. 다음과 같이 공차가 정의된 파트를 살펴보자.  모든 파트는 서피스로 이루어진다. 아래의 파트는 다음과 같이 10개의 서피스로 이루어져 있다. 기하공차를 사용하여 모든 서피스를 통제해야 한다. 가장 간단하게 모든 서피스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은 윤곽공차를 정의하는 것이다. 이렇게 윤곽공차를 정의하면 모든 서피스에 윤곽공차 2가 적용된다. 하지만 서피스 사이의 관계는 통제되지 않는다. 윤곽공차가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윤곽공차에 의해 생성되는 공차영역은 서로 개별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공차영역들은 서로 아무런 관계가 정의되지 않는다.이제 윤곽공차에 데이텀 피쳐 A를 참조하고, 데이텀 피쳐 A로 사용할 피쳐를 도면에 식별했다. 따라서 윤곽공차에 의해 생성되는 공차영역은 데이.. 더보기
기초 #25 베이직 치수를 나타내는 방법 GD&T 체계에서는 치수를 베이직 치수로 정의한다. 베이직 치수는 공차를 포함하지 않는다. GD&T 체계에서 공차는 FCF를 사용하여 기하공차로 정의한다. 베이직 치수는 이론적인 형상을 기술하는, 묘사하는, 설명하는 치수이다. 베이직 치수는 치수를 사각형 안에 표현하여 나타낸다. 따라서 사각형 프레임 안의 치수는 공차는 포함하지 않고 이론적인 형상을 기술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GD&T 체계에서의 치수와 달리 치수공차 체계에서의 치수는 공차를 포함한다. GD&T 체계에서의 치수와 치수공차 체계에서의 치수를 구분을 위해 치수공차 체계에서의 치수를 일반 치수라 하면, 일반 치수는 공차를 포함한다. 공차가 표기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도면의 타이틀 블럭에 정의된 일반공차가 적용된다. 따라서 일반 치수와 베이직 치.. 더보기
기초 #24 DRF(데이텀 레퍼런스 프레임)은 실제 파트에 의해 생성된다. 모든 파트는 병진자유도 3개와 회전자유도 3개를 가지고 있다. 즉, 파트는 6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그러한 파트가 평면 하나와 관계를 맺으면 파트는 병진자유도 1개와 회전자유도 2개를 잃는다.계속해서, 파트의 다른 면을 앞선 평면에 수직인 평면과 관계를 맺으면 파트는 남아 있는 자유도 중 병진자유도 1개와 회전자유도 1개를 잃는다.계속해서, 파트의 또다른 면을 앞선 두 평면에 수직인 평면과 관계를 맺으면 파트는 남아 있는 자유도 1개 마저 잃게 된다. 결과적으로 파트는 평면 3개에 의해 생성된 공간 안에서 움직일 수 없게 된다.이렇게 파트에 의해 생성된 공간을 DRF(Datum Reference Frame)이라고 한다.DRF는 서로 수직한 세 개의 평면으로 구성되고, 두 평면이 교차하는 곳에 축이 .. 더보기
기초 #23 Rule #2 : ASME Y14.5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원칙 ASME Y14.5는 몇 개의 기본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그 중 두 가지는 아주 중요해서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Rule #1 : 피쳐의 모양에 대한 기본조건.Rule #2 : 공차와 데이텀 피쳐에 대한 기본조건. 먼저 Rule #1을 설명했다. 이번에는 Rule #2를 설명한다. 공차는 기본적으로 RFS에서 적용된다.데이텀 피쳐는 기본적으로 RMB를 참조한다.재료상태조건 (RFS, MMC, LMC)공차는 기본적으로 RFS에서 적용된다. RFS는 Regardless of feature size의 약어이다. 실제 피쳐 사이즈가 얼마든 상관없이 FCF에 표기된 공차가 적용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항상 표기된 공차가 적용된다. RFS는 공차를 정의하는 재료상태의 디폴트 조건이다. 공차 크기를 정의하는 칸에 재료.. 더보기
기초 #22 데이텀 피쳐를 수정하여 참조하게 하는 모디파이어 (4개) 재료경계 모디파이어 재료경계 모디파이어를 데이텀 피쳐 문자 다음에 표기하면 데이텀 피쳐를 참조할 때 특정한 재료경계를 참조할 수 있다. 재료조건 모디파이어와 동일한 심볼이지만 심볼의 위치에 따라 의미하는 바가 달라진다. 재료상태를 나타내는 심볼이 데이텀 피쳐 문자 다음에 있다면, 이는 재료경계 모디파이어로 데이텀 피쳐 참조할 때 데이텀 피쳐가 특정한 재료상태일 때의 경계를 참조한다는 의미이다. 만약 MMC 상태를 나타내는 심볼이 데이텀 피쳐 문자 다음에 표기되어 있다면 데이텀 피쳐가 최대가 되는 MMC 상태에서 생기는 경계를 데이텀 피쳐로 참조하겠다는 의미이다. 만약 LMC 상태를 나타내는 심볼이 데이텀 피쳐 문자 다음에 표기되어 있다면 데이텀 피쳐가 최소가 되는 LMC 상태에서 생기는 경계를 데이텀 피.. 더보기
기초 #21 데이텀 피쳐를 식별하는 방법 어떤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사용하려면 이를 식별해야 한다. 식별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서피스에 직접 표기하거나 지시선의 수평성분에 표기하거나 치수 보조선에 표기하는 경우 데이텀 피쳐는 해당 서피스가 되고, 데이텀은 해당 서피스에 대응하는 평면으로 생성된다.다음과 같은 경우는 서로 다른 데이텀을 생성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치수보조선에 데이텀 피쳐 심볼을 표기하면 데이텀은 서피스에 대응하는 평면으로 생성된다.치수선에 정렬하여 데이텀 피쳐 심볼을 표기하면 데이텀은 사이즈 피쳐의 중심평면으로 생성된다. 더보기
기초 #20 데이텀 피쳐에서 데이텀을 도출하는 과정 데이텀 피쳐는 데이텀을 도출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텀을 물리적으로 구현하여 현실에 실재하게 할 수도 있다. 데이텀 피쳐는 평면 서피스일 수도 있고, 곡면서피스일 수도 있고, 사이즈 피쳐일 수도 있고, 패턴 피쳐일 수도 있다. 데이텀 피쳐는 시뮬레이터로, 시뮬레이터는 TGC로, TGC는 데이텀으로 되는 과정을 거쳐 데이텀 피쳐에서 데이텀이 도출된다. 이렇게 도출된 데이텀에 의해 검증의 기준이 되는 좌표계를 구성하여 DRF를 구축한다. 원기둥 서피스를 데이텀 피쳐로 선정했을 때 어떻게 데이텀 축이 도출되는지 살펴보자. 도면에 식별한 데이텀 피쳐와 실제로 제작된 데이텀 피쳐도면에 데이텀 피쳐를 식별한다. 데이텀 피쳐로 식별된 피쳐는 데이텀을 도출하기 위해 해당 피쳐를 사용해야 함을 나타낸다. 도면에 따라 파트를.. 더보기
기초 #19 비교를 한다는 것 기하공차에서 모양공차를 제외한 공차는 모두 대상과 대상을 비교한다.  비교는 항상 상대가 필요하다.  키가 180cm인 사람은 키가 큰가? 작은가?20억이 있는 사람은 돈이 많은가? 적은가? 위의 질문에는 대답할 수 없다. 비교한 결과를 묻고 있지만, 비교할 대상이 없기 때문이다.비교는 항상 상대가 필요하다. 비교할 대상이 있어야 비교를 할 수 있다. 키가 180cm인 사람은 키가 185cm인 사람보다 큰가? 작은가?20억이 있는 사람은 1억이 있는 사람보다 돈이 많은가? 적은가? 위의 질문에는 대답할 수 있다. 비교할 대상이 있어 비교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키가 185cm인 사람은 작년 키가 180cm인 사람보다 작은가 큰가?오늘 오후에 20억이 있는 사람은 오늘 오전에 1억이 있었던 사람보.. 더보기
기초 #18 공차조건을 수정하는 모디파이어 (7개) 기하공차의 공차영역은 모디파이어를 사용하여 더 구체적으로 수정하여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모디파이어는 7개가 있다.1. 재료조건 모디파이어 사이즈 피쳐의 재료상태는 3개로 나눌 수 있다. 실체가 최대가 되는 MMC 상태, 실체가 최소가 되는 LMC 상태, 그리고 실체 자체인 RFS상태이다. 이러한 재료조건 모디파이어를 사용하면 공차를 특정한 재료상태에서 정의할 수 있다. 특정한 재료상태는 구체적으로 MMC 상태 또는 LMC 상태를 말한다. 2. 투영공차 모디파이어 투영공차 모디파이어를 사용하면 투영공차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보통 공차영역은 대상 피쳐의 길이를 따라 생성되지만, 투영공차영역은 대 상 피쳐의 길이 바깥쪽으로 공차영역이 생성된다. 홀의 투영공차영역을 정의하면 홀의 바깥쪽에 투영길이만큼 .. 더보기
기초 #17 공차영역 형상을 정의하는 심볼 (∅,S∅) GD&T로 다양한 형상의 공차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이전 글에서 소개하였다. 공차영역 형상을 정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규제대상의 형상에 따라 공차영역 형상이 달라지기도 하고, 기하공차의 종류에 따라 공차영역 형상이 달라지기도 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가장 간단한 방법인 공차영역의 형상을 심볼로 직접 정의하는 방법만을 설명한다. 기하공차는 FCF를 사용하여 규제정보를 전달한다. FCF에 얼마나 정확하게 규제할 것인지 규제정도를 공차값으로 정의한다. 공차값이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더 정확하고 엄밀하게 규제되어야 한다. 이 공차값은 공차영역의 크기가 정한다.  1. 평행면형 공차영역 공차영역은 기본적으로 평행면형이다. 평행면은 규제대상 서피스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평행하게 떨어져 생성된다. 서피스가 평면.. 더보기
기초 #16 2차원의 공차영역을 생성하는 기하공차 기하공차는 모두 12종류가 있다. 이들은 3차원의 공차영역을 정의하기도 하고, 2차원의 공차영역을 정의하기도 한다. 12종류의 기하공차 중에서 진직공차, 진원공차, 선윤곽공차, 원주흔들림공차는 2차원의 공차영역을 생성한다. 경사공차 등의 자세공차도 노트를 사용하여 2차원 공차영역을 생성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위의 공차만 살펴본다. 자세공차도 동일한 방식으로 공차영역이 생성되기 때문에 2차원 공차영역이 어떻게 생성되는지 이해하면 이를 응용하여 자세공차의 공차영역을 2차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통 기하공차는 공차영역을 3차원으로 생성하지만 2차원 공차영역의 집합을 공차영역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3차원 공차영역과 비교하여 2차원 공차영역은 공차영역이 서로 개별적이다. 따라서 공차영역이 서로 정렬되지 않.. 더보기
기초 #15 3차원의 공차영역을 생성하는 기하공차 기하공차는 모두 12종류가 있다. 이들은 각각 공차영역을 다르게 정의한다. 3차원의 공차영역을 정의하기도 하고, 2차원의 공차영역을 정의하기도 한다.  먼저 3차원의 공차영역을 정의하는 기하공차를 살펴보자.평면공차평면공차는 평면서피스에 적용한다. 평면공차는 공차만큼 떨어진 평행한 두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공차영역을 생성한다.원통공차원통공차는 원통서피스에 적용한다. 원통공차는 크기가 다르고 동심인 두 개의 원통으로 이루어진 공차영역을 생성한다.자세공차경사공차는 평면서피스에도 적용할 수 있고, 원통서피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평면서피스에 적용된 경우를 살펴보면, 경사공차는 기준면에 대해 베이직 각도로 기울어진 공차영역을 생성한다.수직공차는 평면서피스에도 적용할 수 있고, 원통서피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평.. 더보기
기초 #14 기하공차로 다양한 형상의 공차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기하공차는 공차영역을 기초로 한다. 기하공차는 피쳐가 있어야 하는 공차영역을 정의한다. 피쳐의 모양, 위치, 자세에 대한 매우 상세한 요구사항을 공차영역으로 정의하여 나타낼 수 있다. 공차영역의 형상은 보통 FCF에 표기된 기하공차의 종류, 공차크기 등에 의해 정의된다.대부분의 기하공차는 공차영역이 3차원이다. 3차원 공차영역은 피쳐가 있어야 하는 공간영역을 정의한다. 2차원의 공차영역도 가능하다. 2차원의 공차영역은 피쳐가 있어야 하는 서피스 위의 면적영역을 정의한다. 2차원의 공차영역은 특정 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여 정의된다. 다음과 같은 3차원 공차영역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3차원 공차영역은 피쳐를 전체로 다루어서 통제한다. 다음과 같은 2차원 공차영역 세트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더보기
기초 #13 규제특성 : 기하공차 종류에 따라 특정한 기하학적 속성을 통제한다. [기하공차 종류를 나타내는 심볼은 통제하려는 기하학적 속성(사이즈, 모양, 자세, 위치)을 더 구체적이고 직관적으로 나타낸다.각각의 기하공차가 구체적으로 어떤 기하학적 속성을 통제하는지 살펴보자. 진직공차 : 선이 수학적으로 완벽한 직선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평면공차 : 면이 수학적으로 완벽한 평면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진원공차 : 선이 수학적으로 완벽한 원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진통공차 : 면이 수학적으로 완벽한 원통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경사공차 : 선(또는 면)이 어떤 기준에 대해 수학적으로 완벽한 특정 기울기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수직공차 : 선(또는 면)이 어떤 기준에 대해 수학적으로 완벽한 특정 기울기 중 하나인 수직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평행공차 : 선(또는 면)이 어떤 기준에 대해 수학적.. 더보기
기초 #12 기하공차는 12종류가 5분류로 나누어진다. 기하공차는 12종류가 있고, 5분류로 나누어진다. 5분류는 공통 특성이 있는 것들을 묶은 것이다. 예를 들면, 모양공차는 데이텀 피쳐를 항상 참조하지 않는다. 흔들림공차는 항상 회전축을 데이텀 피쳐로 참조한다. 이러한 분류는 공통 특성에 따라 묶은 것이지 모양공차만이 모양을 규제하고 자세공차만이 자세를 규제하는 것은 아니다. 분류에 따라 특성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1. 모양공차모양공차에는 진직공차, 평면공차, 진원공차, 진통공차가 있다. 모양공차는 피쳐 자신의 모양을 통제한다. 자신의 모양을 통제하기 때문에 다른 것과 비교할 필요가 없다. 비교 기준인 데이텀이 필요하지 않다.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지 않는다. 만약 모양공차가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고 있다면 이는 틀린 것이다. 모양공차는 특정 모양의 공차.. 더보기
기초 #11 기하공차는 무엇을 통제하는가? 기하공차는 서피스 피쳐를 규제하기도 하고 사이즈 피쳐를 규제하기도 한다. 모든 기하공차로 서피스 피쳐를 규제할 수 있지만, 모든 기하공차가 사이즈 피쳐를 규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사이즈 피쳐를 규제할 수 있는 기하공차는 진직공차, 평면공차, 자세공차, 위치공차다.도면 표기 방법 서피스 피쳐를 규제하는지 사이즈 피쳐를 규제하는지는 도면에 표기하는 방법을 다르게 하여 구분한다. 서피스 피쳐를 규제하는 경우는 서피스 피쳐를 규제함을 인식할 수 있으면 충분하지만 사이즈 피쳐를 규제하는 경우에는 항상 사이즈 치수와 연관되게 FCF를 배치해야 한다. 사이즈 피쳐를 규제하려고 할 때 아래와 같이 표기하면 안된다. 치수보조선에 FCF를 배치하면 사이즈 피쳐가 아닌 치수보조선이 지시하는 상면 서피스를 규제하게 된다.. 더보기
기초 #10 기하학 기초 1 : 점, 선, 면 기하학에서 사용하는 개념과 용어를 이해하면 기하공차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관련하여 간단한 개념과 용어를 설명한다. 도형은 기하학에서 다루는 모든 객체를 부르는 말이다. 보통 객체 그 자체를 말하거나 그것의 둘레 같은 경계부분을 말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삼각형 같은 경우 속이 꽉 찬 삼각형 그 자체를 도형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삼각형의 세 변의 모임만을 도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냥 기하학에서 다루는 '눈에 보이는 그림으로 묘사할 수 있는 개체'를 모두 말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다만 보통은 경계가 유한한 객체만 도형이라고 부르고 있다. [1] 평면도형, 입체도형, 공간도형이 있으며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은 주로 초등학교 수학과 중학교 수학에서, 고등학교 이과생들이 배우는 기하와 벡터에서는 중1.. 더보기
기초 #09 피쳐의 종류와 분류 기하공차는 피쳐에 적용된다. 그래서 각각의 피쳐가 어디서 시작되고 어디서 끝나는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피쳐의 시작과 끝이 어디인지 아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피쳐에 의해 공차영역이 정의되기 때문이다. 만약 피쳐가 끝나는 곳과 다른 피쳐가 시작하는 곳을 알 수 없다면, 공차영역이 어디서 끝나고 어디서 새로 시작하는지 불분명해진다. 또한 평면공차와 같은 기하공차는 단일피쳐만 규제할 수 있고, 흔들림공차는 회전면 피쳐를 규제할 수 있다. 위치공차는 추상피쳐도 통제한다. 여러 종류의 피쳐를 구분할 수 없다면, 정의된 공차영역을 올바르게 해석하지 못할 수 있다. 피쳐는 기하공차로 통제하고자 하는 대상을 말한다. 피쳐의 대부분은 서피스로 이루어지지만 다시 세분화하면 서피스의 전체를 통제할 수도 있고, 서피스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