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공차 중급 썸네일형 리스트형 MMC(LMC)는 특정재료상태를 말한다. "MMC는 알겠는데 MMC는 모르겠어.""MMC가 최대재료상태인거는 알겠는데 그걸 왜 쓰는건지 모르겠어.""MMC가 표기된 건 알겠는데 그래서 어떻다는건지 모르겠어." MMC가 최대재료상태를 말하는 것은 알겠다. 심볼 Ⓜ︎ 표기가 MMC를 말한다는 것도 알겠다.하지만 치수한계값 중 하나를 MMC라고 하고, FCF에 있는 Ⓜ︎도 MMC라고 한다.모두 MMC라고 하는데, 같은건가? 다른건가?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MMC(LMC)가 특정한 상태를 말한다고 생각해보자.MMC : 최대재료상태 (Maximum Material Condition)의 약어LMC : 최소재료상태 (Least Material Condition)의 약어 MMC(LMC)는 피쳐의 특정한 재료상태를 말한다. MMC는 재료가 최대가 되는.. 더보기 베이직 치수로 정의 했을 때와 일반 치수로 정의 했을 때의 차이 다음과 같이 정의된 도면이 있다. 한쪽은 동일한 치수가 베이직 치수로 정의되고 다른 한쪽은 동일한 치수가 일반치수로 정의되어 있다.두 경우는 같을까? 다를까? (본 글에서 일반 치수는 베이직 치수와 구분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합니다.) 이 두 경우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먼저 데이텀 피쳐를 참조했을 때의 효과를 설명하고, 다음으로 베이직 치수를 정의했을 때의 효과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치수를 베이직 치수로 정의했을 때와 일반치수로 정의했을 때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한다.데이텀 피쳐를 참조했을 때 효과 : 공차영역 자유도 제한아래 그림에서 (가)와 (나)는 동일하게 윤곽공차 0.5를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두 경우는 동일하게 너비가 0.5인 공차영역을 생성한다. (가)와 (나)의 차이.. 더보기 DRF가 같을 때와 다를 때 FCF의 세번째 칸부터는 참조하는 데이텀 피쳐를 표기한다. 데이텀 피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고, 데이텀 피쳐의 순서는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첫번째 데이텀 피쳐가 1차 데이텀 피쳐이고, 두번째 데이텀 피쳐가 2차 데이텀 피쳐이고, 세번째 데이텀 피쳐가 3차 데이텀 피쳐이다.1차 데이텀 피쳐는 자신이 제한할 수 있는 모든 자유도를 제한한다.2차 데이텀 피쳐는 자신이 제한할 수 있는 자유도 중에서 1차 데이텀 피쳐에 의해 아직 제한되지 않은 모든 자유도를 제한한다.3차 데이텀 피쳐는 2차 데이텀 피쳐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제한할 수 있는 자유도 중에서 상위 데이텀 피쳐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모든 자유도를 제한한다. FCF에 참조된 데이텀 피쳐에 의해 DRF가 생성된다. DRF는 서로 수직한 세 개의 평면으.. 더보기 MMC(또는 LMC)에서 정의된 기하공차는 서피스 관점에서 평가한다. 홀의 사이즈와 위치를 다음 도면과 같이 통제하려고 하려고 한다.실제로 다음과 같이 제작된 홀이 정의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도면은 홀에 대해 두 가지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있다. 사이즈 요구사항과 위치 요구사항이다. 홀은 이 두 가지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해야 하다고, 둘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한다면 홀은 필요한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않는 것이다. 사이즈 요구사항은 홀이 ∅19.7과 ∅20.3 사이의 사이즈여야 할 것을 요구한다.위치 요구사항은 홀이 트루 포지션에 위치하고 크기가 ∅1.0인 공차영역에 위치할 것을 요구한다. 여기에 더해 위치공차는 MMC에서 정의되었다. 1) 사이즈 요구사항홀의 사이즈는 ∅20±0.3으로 정의되었다. 따라서 홀의 사이즈가 ∅19.7과 ∅20.3안에 .. 더보기 공차를 MMC에서 정의하면 검사가 쉬워진다. 기하공차가 MMC나 LMC에서 정의되면, 절대 침범할 수 없는 VC경계가 정의된다.VC경계를 이해하면, 검사과정이 단순해지고 데이터 수집이 쉬워진다.다음과 같은 형상의 파트를 제작하려고 한다.도면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홀 2개의 위치공차는 MMC 상태에서 정의되었다. 홀을 검증하는 방법을 살펴보자.사이즈 검증 홀을 검사하기 위해 먼저 홀 사이즈를 측정한다. 홀 사이즈를 만족하면 홀 위치를 검증한다. 도면은 위치 검증홀 위치를 검증하기 위해 데이텀 평면을 설정한 후 CMM 프로브를 홀의 트루포지션으로 이동한다. 공차가 MMC상태에서 정의되면 VC경계를 위반하지 않으면 된다. 거기서 극좌표를 측정하여 홀의 서피스가 VC경계를 위반하는지 확인한다. VC경계를 위반하지 않으면 제작된 홀은 정의된 위치공차.. 더보기 데이텀 피쳐 우선순위 영향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는 순서는 중요하다. 다음과 같은 파트가 있다.파트의 1차 데이텀은 동일하고 2차 데이텀과 3차 데이텀이 서로 뒤바뀌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데이텀 피쳐 C는 파트의 옆면이고, 데이텀 피쳐 B는 파트의 뒷면이다. 실제 서피스는 완벽하지 않게 제작될 것이다. 실제 제작된 파트를 위에서 바라보면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홀 중심축의 자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자. 첫번째 경우는 2차 데이텀 피쳐는 데이텀 피쳐 B를 참조하고 3차 데이텀 피쳐는 데이텀 피쳐 C를 참조하고 있다. 따라서 파트를 검사하려고 데이텀에 접촉할 때 데이텀 B와는 2점에서 접촉하고 데이텀 C와는 1점에서 접촉하도록 놓인다. 첫번째 경우는 2차 데이텀 피쳐는 데이텀 피쳐 C를 참조하고 3차 데이텀 피쳐는 데이텀 피쳐 .. 더보기 [보완필요] 항상 채워져 있어야 하는 절대영역을 정의하는 VC경계 더보기 [보완필요] 항상 비어 있어야 하는 절대영역을 정의하는 VC경계 더보기 사이즈 피쳐의 한계 경계 : 외부경계와 내부경계 홀의 위치공차는 경계 2개를 만든다. 하나는 내부경계이고, 하나는 외부경계이다. 홀은 사이즈 정의에 의해 MMC 사이즈와 LMC 사이즈로 한계 사이즈가 정해진다. 그리고 위치공차에 의해 한계 위치가 정해진다. 홀이 한계 사이즈이면서 한계 위치에 있는 모든 경우를 시각화할 수 있다. 먼저 외부경계는 홀이 LMC 사이즈이면서 한계 위치에 있는 모든 경우를 겹쳐보았을 때 얻어진다.홀의 사이즈 정의에 따라 홀의 LMC 사이즈는 Ø10.5이다. 홀의 위치공차는 Ø0.5로 정의되었기 때문에 홀은 트루 포지션에서 Ø0.5까지 벗어날 수 있다. Ø10.5인 홀은 위의 그림과 같이 한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모든 경우를 겹쳐보면 다음과 같다.모든 경우를 겹쳐보면 홀의 사이즈와 위치 정의에 의해 생기는 외부경계를 알.. 더보기 MMC 상태에서 공차를 정의하면 생기는 VC 경계 사이즈 피쳐를 규제하는 공차가 MMC 상태에서 정의되었을 때 VC 경계가 생성된다. VC 경계는 피쳐의 서피스가 침범해서는 안되는 경계로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다. 핀 사이즈 피쳐를 진직공차로 규제할 때, 공차를 MMC 상태에서 정의하면 VC라고 하는 가상경계를 생성한다. MMC를 재료조건으로 하여 정의된 진직공차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MMC를 재료조건으로 하여 공차가 정의되었을 때, MMC에 기하공차의 영향이 더해져 가상경계 VC가 생성된다. 가상경계 VC를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MMC와 공차영역의 조합이 최악이 되는 AME로 시각화하는 것이다. AME는 이론적으로 완벽한 기하학 형상이다. 홀이나 핀의 VC 경계는 완벽한 형상의 원통이다.핀과 같은 외피쳐라면 VC의 크기는 MMC 사이즈에 진직공차.. 더보기 사이즈 피쳐의 재료조건 : LMC 공차가 LMC 상태에서 정의된 경우공차를 LMC 상태에서 정의하려면, 모디파이어 Ⓛ을 공차값 다음에 표기한다.LMC 모디파이어는 실제 홀이 LMC 상태로 제작되었을 때만 표기된 공차가 적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홀이 LMC 상태가 아닌 상태로 제작되었다면, 실제 피쳐의 사이즈와 LMC 상태의 사이즈의 차이만큼 위치공차가 추가적으로 허용된다. 위의 그림은 홀의 사양과 위치공차를 보여준다. 홀의 사이즈 범위는 Ø9.5에서 Ø10.5이고, 위치공차는 LMC 상태일 때 Ø0.5이다. 홀의 사이즈는 Ø9.5에서 Ø10.5 사이에서 제작되어야 한다.홀은 내피쳐이기 때문에 사이즈가 가장 클 때 실체가 가장 적다.따라서 홀이 LMC 상태가 될 때는 사이즈가 Ø10.5일 때이다. 위치공차가 LMC 상태에서 정의되었.. 더보기 사이즈 피쳐의 재료조건 : MMC 공차가 MMC 상태에서 정의된 경우공차를 MMC 상태에서 정의하려면, 모디파이어 Ⓜ︎을 공차값 다음에 표기한다.MMC 모디파이어는 실제 홀이 MMC 상태로 제작되었을 때만 표기된 공차가 적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홀이 MMC 상태가 아닌 상태로 제작되었다면, 실제 피쳐의 사이즈와 MMC 상태의 사이즈의 차이만큼 위치공차가 추가적으로 허용된다. 위의 그림은 홀의 사양과 위치공차를 보여준다. 홀의 사이즈 범위는 Ø9.5에서 Ø10.5이고, 위치공차는 MMC 상태일 때 Ø0.5이다. 홀의 사이즈는 Ø9.5에서 Ø10.5 사이에서 제작되어야 한다.홀은 내피쳐이기 때문에 사이즈가 가장 작을 때 실체가 가장 많다.따라서 홀이 MMC 상태가 될 때는 사이즈가 Ø9.5일 때이다. 위치공차가 MMC 상태에서 정의되었.. 더보기 사이즈 피쳐의 재료조건 : RFS 공차가 RFS 상태에서 정의된 경우재료조건을 나타내는 모디파이어가 없다면 공차는 RFS 상태에서 정의된 것으로 간주한다.이는 사이즈 피쳐의 실제 사이즈는 고려하지 않고 표기된 공차가 그대로 적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따라서 사이즈 피쳐의 실제 사이즈가 변하더라도 공차는 변하지 않는다. 그림은 홀의 사양과 위치공차를 보여준다. 홀의 사이즈 범위는 Ø9.5와 Ø10.5이고, 위치공차는 RFS 상태일 때 Ø0.5이다. 홀의 사이즈는 Ø9.5에서 Ø10.5 사이에서 제작되어야 한다.홀의 사이즈가 어떠하든 위치공차는 Ø0.5 허용된다.공차가 RFS 상태에서 정의되었기 때문에 홀의 실제 사이즈는 공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실제로 제작된 9개 파트의 홀을 살펴보자. 홀이 가장 큰 사이즈로 제작된 경우 아래 그림의 9..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