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B 썸네일형 리스트형 기초 #06 사이즈 피쳐의 이해 1 : 사이즈 피쳐의 기본 개념과 특징 GD&T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사이즈 피쳐'다. 하지만 사이즈 피쳐를 이해하지 못하면 GD&T 전체를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다. 사이즈 피쳐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자.사이즈 피쳐란 무엇인가?사이즈 피쳐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사이즈 공차가 정의된 피쳐’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단순히 크기를 가진 형상이 있는 것만으로는 사이즈 피쳐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드시 사이즈 공차가 정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부품에 홀이 있다고 해보자. 이 홀이 단순히 그림으로만 그려져 있다면 이는 사이즈 피쳐가 아니다. 하지만 도면에 ‘∅10±0.1mm'처럼 사이즈와 사이즈 공차가 함께 표시되어 있다면, 그때야 비로소 사이즈 피쳐가 .. 더보기 MMB 계산과 적절한 MMB 선택 데이텀 피쳐를 MMB 경계로 참조하면, TGC 크기는 고정된다. 이 크기는 상위 데이텀을 준수한 상태에서 사이즈 공차와 기하공차의 효과가 조합되어 정해진다. MMB를 물리적으로 시뮬레이션하려면 크기가 고정된 기계요소나 게이징 요소를 사용한다. 데이텀 피쳐의 MMB는 피쳐가 도면에 정의된 사이즈 공차와 기하공차를 만족한다면 피쳐가 절대 침범할 수 없는 경계를 나타낸다. 이는 VC경계와 비슷하지만, VC경계는 통제피쳐(기하공차의 대상이 되는 피쳐)에 적용되는 개념인 반면 MMB 경계는 참조피쳐(대상이 되는 피쳐를 위해 참조하는 피쳐)에 적용되는 개념이다. TGC 크기를 찾으려면 데이텀 피쳐를 규제하는 기하공차를 분석해야 한다. 데이텀 피쳐를 여러 개의 기하공차로 통제한다면, 데이텀 피쳐의 MMB는 여러 개..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