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하공차 해석

기하공차 해석하기 2 원하는 기능을 위해 피쳐를 적절하게 규제하는 도면을 "쓰는" 능력은 연습이 많이 필요하지만, 도면을 "읽는" 기본적인 능력은 약간의 연습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도면이 복잡해보이더라도 하나씩 차례로 각 표기의 의미를 파악하고, 각 표기들간의 관계를 이해하면 결국 전체 도면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① 파트의 뒷면 - 데이텀 피쳐 A 파트의 뒷면을 데이텀 피쳐 A로 선정하였다. 데이텀 피쳐 A는 다른 피쳐가 1차 데이텀 피쳐로 참조하고 있다. 이 파트는 다른 파트와 뒷면이 가장 먼저 닿으면서 조립될 것이고, 따라서 뒷면이 기능적으로 가장 중요할 것이다. 데이텀 피쳐 A는 평면서피스이다. 평면서피스는 데이텀 평면을 도출한다. 데이텀 피쳐 A를 참조한 피쳐는 도출된 데이텀 평면에 대해 기하학적 속성이 정의.. 더보기
기하공차 해석하기 1 원하는 기능을 위해 피쳐를 적절하게 규제하려면 많은 연습이 필요하지만, 도면을 "읽는" 기본적인 능력은 약간의 연습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다음 예제는 이러한 연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기하공차 표기를 하나씩 해석하고 설명한다.① 파트의 앞면 - 데이텀 피쳐 A파트의 앞면을 데이텀 피쳐 A로 선정하였다.도면에 정의된 기하공차 중 일부가 데이텀 피쳐 A를 1차 데이텀 피쳐로 참조하고 있다. 앞면을 데이텀 피쳐로 선정한 걸로 보아 다른 파트와 앞면에서 접촉할 것이다. 따라서 뒷면보다는 앞면이 기능적으로 더 중요할 것이다. 데이텀 피쳐 A를 참조하고 있는 피쳐는 데이텀 피쳐 A의 상태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데이텀 피쳐 A의 기하학적 속성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데이텀 피쳐 A는 평면공차 0.1.. 더보기
기하공차 정의하기 다음과 같은 파트를 기하공차로 규제해보자. 너비 30, 높이 60, 두께 10인 평판에 사이즈가 ∅10인 홀이 있는 파트가 있다. 이 파트를 기하공차로 규제해보자.① 데이텀 피쳐를 선정한다. 피쳐의 기능을 고려하여 데이텀 피쳐를 선정한다. 선정된 데이텀 피쳐는 데이텀 피쳐 심볼을 사용하여 식별해야 한다. 그림은 뒷면을 데이텀 피쳐 A로, 왼쪽면을 데이텀 피쳐 B로, 바닥면을 데이텀 피쳐 C로 식별하고 있다.   파트 기능이 명시되지 않았지만, 선정된 데이텀 피쳐에 의해 피쳐의 기능을 짐작해 볼 수 있다. 파트는 상대파트와 가장 먼저 뒷면이 접촉하고, 다음으로 왼쪽면, 그 다음으로 바닥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홀을 사용할 것이다. 피쳐는 데이텀을 기준으로 자세와 위치가 통제되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텀의 선정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