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쳐

초급 #07 사이즈 피쳐의 경계 : 외부경계와 내부경계 사이즈 피쳐는 사이즈 공차와 위치공차의 영향으로 2종류의 경계가 생성된다. 내부경계와 외부경계이다. 이름 그대로 내부경계는 안쪽에 있는 경계이고, 외부경계는 바깥쪽에 있는 경계이다. 안쪽과 바깥쪽으로 있는 것으로 구분된 경계로 내피쳐든 외피쳐든 상관없이 안쪽에 있는 경계는 내부경계고 바깥쪽에 있는 경계는 외부경계가 된다. 이 내부경계와 외부경계는 사이즈 피쳐가 어떤 재료조건에서 정의되었느냐에 상관없이 생성되는 일반적인 경계이다. ASME에서 내부경계와 외부경계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자.boundary, inner: a worst-case boundary generated by the collective effects of the smallest feature of size (MMC for an .. 더보기
초급 #13 데이텀 피쳐의 요건 - 물리적이어야 한다. 왜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사용해야 할까?물리적인 피쳐가 아닌 중심축이나 중심평면을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음과 같은 파트를 제작하려고 한다.  파트의 형상을 통제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데이텀을 설정하고 흔들림공차를 규제하였다.실제 피쳐는 다음과 같이 중심축이 정렬되어 있지 않을 것이다. 데이텀으로 지정한 중심축이 원통 5개에 의해 5개가 생성된다. 그렇다면 원통 5개에 의한 중심축 중에서 어떤 것을 데이텀으로 사용해야 할까? 정답은 "알 수 없다."다. 도면은 어떤 것을 기준이 되는 중심축으로 사용해야 하는지 명시하고 있지 않다. 원통 5개를 통과하면서 중심축이 여러 개 생성되고, 서로 다른 직경의 원통마다 중심축이 생성되기 때문에 데이텀 축을 정하는 방법을 하나로 확정할.. 더보기
기초 #09 피쳐의 이해 2 : 피쳐와 서피스 기하공차는 형상을 통제한다. 그 통제 대상은 피쳐이다. 그런데 종종 피쳐와 서피스가 혼용된다. 이 둘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해보자.피쳐와 서피스는 같은가?서피스는 부품 형상을 구성하는 단위로, 부품이 존재하는 한 언제나 존재한다. 부품의 형상은 평면, 곡면, 원통면 등으로 구성되며, 설계자가 "이것은 서피스다"라고 지정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생겨난다. 반면, 피쳐는 기하공차의 대상이 되는 단위이다. 서피스가 피쳐가 될 수 있지만, 단순한 서피스를 넘어 그 서피스의 의미가 부여된 대상이다. 서피스 자체가 피쳐가 될 수도 있지만, 서피스 일부가 피쳐가 될 수도 있고, 서피스의 특정요소가 피쳐가 될 수도 있다. 서피스는 표상이고, 피쳐는 의미이다. 서피스는 형상이고, 피쳐는 기능이다. 서피스는 껍데기이고, 피쳐.. 더보기
기초 #07 사이즈 피쳐의 이해 2 : 사이즈 피쳐의 특징 - 경계 GD&T 체계에서 치수공차는 사이즈 피쳐의 사이즈 공차를 정의할 때만 사용한다. 홀, 핀, 슬롯, 레일과 같은 것들이 사이즈 피쳐에 해당한다.피쳐가 사이즈 피쳐라면 어떤 경계를 기준으로 재료가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다. 홀은 경계의 안쪽에 재료가 없고, 핀은 경계의 안쪽에 재료가 있다. 마찬가지로 슬롯은 경계의 안쪽에 재료가 없고, 레일은 경계의 안쪽에 재료가 있다. 경계를 기준으로 안쪽에 재료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경계안에 재료가 없으면 내피쳐라고 하고, 경계안에 재료가 있으면 외피쳐라고 한다. 만약 아래의 도면과 같이 사이즈 피쳐의 사이즈 공차를 정의하였다면, MMC 상태와 LMC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MMC 상태는 재료가 최대인 상태이고, LMC 상태는 재료가 최소인 상태이.. 더보기
기초 #04 피쳐의 이해 1 : 피쳐란 무엇인가? 기하공차는 피쳐를 통제한다. 그렇다면 피쳐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먼저 ASME에서 피쳐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자.feature : a physical portion of a part (such as a surface, pin outside diameter, hole, or slot) or its representation on drawings, models, or digital data files ASME Y14.5-2018 - para .. 더보기
기초 #03 FCF 읽는 방법 FCF는 통제하려는 기하학적 특성과 공차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FCF의 정보는 대상, 특성, 정도, 기준으로 구성되고, 각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① 대상은 지시선으로 피쳐를 지시하고 이 지시선과 FCF를 연결하여 지시된 피쳐가 대상임을 나타낸다.② 특성은 기하공차 종류를 나타내는 심볼로 어떤 기하학적 특성을 통제할 것인지 나타낸다.③ 정도는 공차영역의 형상과 크기를 심볼과 값으로 나타낸다.④ 기준은 기준으로 삼으려는 피쳐를 데이텀 피쳐 문자로 나타낸다. 기하공차를 어느 정도 접해본 사람이라면 이런 내용을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대상, 특성, 정도, 기준과 같이 복잡한 말을 사용하면, 간단한 개념을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설명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분은 향후 복잡한 기.. 더보기
기초 #02 FCF(피쳐 컨트롤 프레임)의 구성 GD&T는 심볼과 작성방식을 표준화하여 설계자, 생산자, 검사자가 공통된 언어로 소통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GD&T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피쳐 컨트롤 프레임(Feature Control Frame, 이하 FCF)을 사용한다. FCF를 사용하여 피쳐의 기하학적 요구사항을 전달한다. FCF에는 통제하려는 기하학적 특성과 공차영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FCF는 작성자와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정해진 방식을 따라 작성되어야 한다. FCF는 단일 피쳐뿐만 아니라 복수 피쳐나 패턴 피쳐의 기하학적 요구사항도 전달할 수 있다. 위 그림의 FCF는 패턴홀의 사이즈 치수 아래 있다. 따라서 이 FCF는 패턴홀을 통제한다. 패턴홀의 기하공차가 FCF를 사용하여 정의되어 있다. FCF에는 통제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