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 과정 설명 및 운영계획

다음과 같이 기초,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누어 기하공차를 설명합니다.

각 과정은 선행과정의 이해를 전제로 합니다.

 

* 기하공차 이론

   기초과정 - 기하공차 기초 : 기하공차 이해를 위한 최소한의 배경지식.

   초급과정 - 기하공차 초급 : 단일 피쳐 통제. 모디파이어 통제(재료조건).

   중급과정 - 기하공차 중급 : 복수 피쳐 통제, 비정형 피쳐 통제, 모디파이어 통제(재료조건 외).

   고급과정 - 기하공차 고급 : 고급 기하공차 통제.

 

* 기하공차 적용

   기하공차 해석 - 기하공차가 적용된 도면을 해석

   기하공차 정의 - 기하공차 정의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

   실제 적용사례 - 구체적인 실제 도면 사례 검토

 

* 업로드 일정 (2025.05.07부터)

   기하공차 이론 - 순차적으로 작성 예정이며, 새로 작성된 글을 기준으로 기존에 작성된 글이 수정될 수 있습니다. (월 오전 8시)

   기하공차 적용 - 해석, 정의, 실제사례 중 하나를 검토 (매월 넷째주 월 오전 8시)


기초과정 : 기하공차 기초

기하공차 이해를 위한 최소한의 배경지식

 

  1. 도면은 FCF부터 읽는다.
  2. FCF(피쳐 컨트롤 프레임)
  3. FCF를 읽는 방법
  4. 피쳐의 이해 1 : 피쳐란 무엇인가?
  5. 통제속성 4가지 : 사이즈, 모양, 자세, 위치.
  6. 사이즈 피쳐의 이해 1 : 사이즈 피쳐의 성립과 효과
  7. 사이즈 피쳐의 이해 2 : 사이즈 피쳐의 특징 - 경계
  8. Rule #1 : ASME Y14.5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원칙
  9. 피쳐의 이해 2 : 피쳐와 서피스
  10. 기하학 기초 1 : 도형과 공간
  11. 기하공차는 무엇을 통제하는가? - 통제성분
  12. 12종류 5분류
  13. 규제특성 : 기하공차 종류에 따라 다른 규제특성
  14. 다양한 형상의 공차영역
  15. 3차원 공차영역
  16. 2차원 공차영역
  17. 공차영역의 형상정의 (∅,S∅)
  18. 공차조건 수정 모디파이어 7개
  19. 비교를 한다는 것
  20. 기준 피쳐의 일반화 : 데이텀 피쳐에서 데이텀 도출과정
  21. 데이텀 피쳐 식별방법
  22. 참조하는 데이텀 피쳐를 수정하는 모디파이어 4개
  23. Rule #2 : ASME Y14.5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원칙
  24. DRF는 실제 파트에 의해 생성된다.
  25. 베이직 치수를 나타내는 방법
  26. 데이텀 피쳐에 의해 공차영역의 자유도가 제한된다.
  27. 평가 피쳐의 일반화 : AME (액츄얼 메이팅 엔밸로프)
  28. 제유도 제한 여부에 따라 구분 (rAME, uAME) (작성예정)
  29. 정리 - 기하공차를 만족하려면 (작성예정)
  30. 정리 - 기하공차 차트 (작성예정)

초급과정 : 기하공차 기본 (작성예정)

단일 피쳐 통제. 모디파이어 통제(재료조건)
  1. 기하학 기초 2 : 입체형상과 입체도형의 관계
  2. 통제성분 - 기하공차로 통제하는 성분 (평면서피스의 선분, 원통서피스의 원주와 선분, 평면서피스 위의 , 회전서피스 위의 점)
  3. 피쳐의 이해 3 : 피쳐의 유형과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