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하공차

GD&T 요약 (1페이지) GD&T의 기본 내용을 한 페이지에 요약했습니다. 더보기
중급 #01 데이텀 피쳐의 형상에 따라 제한되는 자유도가 달라진다. 데이텀 피쳐의 형상에 따라 제한되는 자유도가 달라진다. 자유도를 어떻게 제한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도면에서 다음과 같은 형상의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선정하였다. 실제 파트는 다음과 같이 완벽하지 않은 형상으로 만들어질 것이다.완벽하지 않은 형상을 다음과 같이 완벽한 형상으로 추상화한다.이렇게 추상화된 완벽한 형상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데이텀을 유도한다.데이텀은 기하학적 기본요소인 점, 선, 면으로 이루어진다. 구는 점이 도출된다. 원기둥은 선이 도출된다. 평면은 면이 도출된다. 원뿔은 점솨 선이 도출된다. 삼각기둥은 점과 면이 도출된다. 마지막 복합형상은 점, 선, 면이 모두 도출된다. 그림에는 데이텀의 크기가 있는 것처럼 표현되었지만, 데이텀 선과 면은 화살표방향으로 무한하게 길어지고 넓어질 수 있다... 더보기
기초 #26 데이텀 피쳐에 의해 공차영역의 자유도가 제한된다. 다음과 같이 공차가 정의된 파트를 살펴보자. 모든 파트는 서피스로 이루어진다. 아래의 파트는 다음과 같이 10개의 서피스로 이루어져 있다. 기하공차를 사용하여 모든 서피스를 통제해야 한다. 가장 간단하게 모든 서피스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은 윤곽공차를 정의하는 것이다. 이렇게 윤곽공차를 정의하면 모든 서피스에 윤곽공차 2가 적용된다. 하지만 서피스 사이의 관계는 통제되지 않는다. 윤곽공차가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윤곽공차에 의해 생성되는 공차영역은 서로 개별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공차영역들은 서로 아무런 관계가 정의되지 않는다.이제 윤곽공차에 데이텀 피쳐 A를 참조하고, 데이텀 피쳐 A로 사용할 피쳐를 도면에 식별했다. 따라서 윤곽공차에 의해 생성되는 공차영역은 데이.. 더보기
기초 #22 참조하는 데이텀 피쳐를 수정하는 모디파이어 (4개) 재료경계 모디파이어 재료경계 모디파이어를 데이텀 피쳐 문자 다음에 표기하면 데이텀 피쳐를 참조할 때 특정한 재료경계를 참조할 수 있다. 재료조건 모디파이어와 동일한 심볼이지만 심볼의 위치에 따라 의미하는 바가 달라진다. 재료상태를 나타내는 심볼이 데이텀 피쳐 문자 다음에 있다면, 이는 재료경계 모디파이어로 데이텀 피쳐 참조할 때 데이텀 피쳐가 특정한 재료상태일 때의 경계를 참조한다는 의미이다. 만약 MMC 상태를 나타내는 심볼이 데이텀 피쳐 문자 다음에 표기되어 있다면 데이텀 피쳐가 최대가 되는 MMC 상태에서 생기는 경계를 데이텀 피쳐로 참조하겠다는 의미이다. 만약 LMC 상태를 나타내는 심볼이 데이텀 피쳐 문자 다음에 표기되어 있다면 데이텀 피쳐가 최소가 되는 LMC 상태에서 생기는 경계를 데이텀 피.. 더보기
기초 #21 데이텀 피쳐의 식별 피쳐의 자세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데이텀 피쳐가 필요하다면, 도면에 이를 나타내야 한다. 이는 데이텀 피쳐로 사용할 피쳐를 데이텀 피쳐 심볼로 나타낸다. 데이텀 피쳐 심볼은 아래와 같다. 데이텀 피쳐는 도면에서 위와 같은 심볼로 나타낸다. 데이텀 피쳐 심볼은 네모 안에 문자를 표기하고 이를 삼각형으로 끝나는 지시선과 연결한다. 삼각형은 채워도 되고 비워도 된다. 네모 안의 문자는 데이텀 피쳐 문자이다. 데이텀 피쳐는 서피스 피쳐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이즈 피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무엇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배치가 달라진다. 따라서 데이텀 피쳐 심볼의 배치 방식을 알아야 한다. 아래 그림은 동일한 부품이지만 데이텀 피쳐 A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왼쪽 그림은 데이텀 피쳐 심볼이 부품의 플랜지 뒷면을.. 더보기
기초 #20 데이텀이란 무엇인가? 데이텀과 DRF는 본격적으로 GD&T를 해석하고 적용하기 전에 이해해야 할 기본 개념 중 하나다. 데이텀은 3차원 공간에서 피쳐의 위치나 자세를 정하는 이론적인 기준이다. 이 글에서는 데이텀을 소개하고 그것이 왜 GD&T를 이해하는데 중요한지 살펴보겠다. AMSE의 정의 먼저 ASME에서 데이텀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ASME의 7장은 데이텀과 DRF에 대한 내용이다. 7장을 시작하기에 앞서 다음과 같이 7장을 소개하고 있다.This Section also establishes the criteria for establishing datums and the datum reference frame using true geometric counterparts derived from datum .. 더보기
기초 #16 2차원의 공차영역을 생성하는 기하공차 기하공차는 모두 12종류가 있다. 이들은 3차원의 공차영역을 정의하기도 하고, 2차원의 공차영역을 정의하기도 한다. 12종류의 기하공차 중에서 진직공차, 진원공차, 선윤곽공차, 원주흔들림공차는 2차원의 공차영역을 생성한다. 경사공차 등의 자세공차도 노트를 사용하여 2차원 공차영역을 생성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위의 공차만 살펴본다. 자세공차도 동일한 방식으로 공차영역이 생성되기 때문에 2차원 공차영역이 어떻게 생성되는지 이해하면 이를 응용하여 자세공차의 공차영역을 2차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통 기하공차는 공차영역을 3차원으로 생성하지만 2차원 공차영역의 집합을 공차영역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3차원 공차영역과 비교하여 2차원 공차영역은 공차영역이 서로 개별적이다. 따라서 공차영역이 서로 정렬되지 않.. 더보기
기초 #09 피쳐의 이해 2 : 서피스와 피쳐 >기하공차는 피쳐를 통제한다. 따라서 먼저 피쳐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피쳐를 생각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부품의 서피스를 피쳐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피쳐는 서피스이며, 기하공차는 서피스를 통제한다. 아래 부품에서 서피스는 무엇을까? 피쳐는 무엇일까?서피스는 이미 존재하는 것.서피스는 부품을 구성하는 단위로, 부품이 존재하는 한 언제나 존재한다. 서피스는 기하공차로 통제하기 전에도 이미 존재한다. 서피스는 부품의 물리적 외형, 즉 부품에 존재하는 표면을 말한다. 부품을 설계하거나 부품을 제작하고 나면 서피스, 즉 부품의 “외형”은 저절로 생긴다. 설계자가 “이것은 서피스다”라고 지정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생겨난다. 서피스는 부품이 생겨나는 동시에 자연스럽게 생긴다. 심지어 실제로 제작하기 .. 더보기
기초 #07 사이즈 피쳐의 이해 2 : 사이즈 피쳐의 특징 - 경계 GD&T 체계에서 치수공차는 사이즈 피쳐의 사이즈 공차를 정의할 때만 사용한다. 홀, 핀, 슬롯, 레일과 같은 것들이 사이즈 피쳐에 해당한다.피쳐가 사이즈 피쳐라면 어떤 경계를 기준으로 재료가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다. 홀은 경계의 안쪽에 재료가 없고, 핀은 경계의 안쪽에 재료가 있다. 마찬가지로 슬롯은 경계의 안쪽에 재료가 없고, 레일은 경계의 안쪽에 재료가 있다. 경계를 기준으로 안쪽에 재료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경계안에 재료가 없으면 내피쳐라고 하고, 경계안에 재료가 있으면 외피쳐라고 한다. 만약 아래의 도면과 같이 사이즈 피쳐의 사이즈 공차를 정의하였다면, MMC 상태와 LMC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MMC 상태는 재료가 최대인 상태이고, LMC 상태는 재료가 최소인 상태이.. 더보기
ASME Y14.5-2018 번역자료 보내드립니다. ASME Y14.5-2018 번역자료 보내드립니다.제가 번역한 버전입니다. 그림은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림은 원문자료를 참고하세요.다음의 링크 설문을 작성해주시면 제가 설문을 확인하면 보내드립니다.https://forms.gle/6asTtdrbjRWu6iGJA다음 링크를 이용하시면 바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https://tolerancelab.teachable.com/ *업데이트 안내- 보기 편하게 ASME Y14.5과 비슷하게 편집하였습니다.- 문장을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다듬었습니다.- 기존에 요청하셨던 분들은 메일 주시면 바로 보내드리겠습니다. 2024년 8월 23일 이후 메일을 받으신 분은 업데이트된 자료로 발송되었습니다. 더보기
공차를 MMC에서 정의하면 검사가 쉬워진다. 기하공차가 MMC나 LMC에서 정의되면, 절대 침범할 수 없는 VC경계가 정의된다.VC경계를 이해하면, 검사과정이 단순해지고 데이터 수집이 쉬워진다.다음과 같은 형상의 파트를 제작하려고 한다.도면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홀 2개의 위치공차는 MMC 상태에서 정의되었다. 홀을 검증하는 방법을 살펴보자.사이즈 검증 홀을 검사하기 위해 먼저 홀 사이즈를 측정한다. 홀 사이즈를 만족하면 홀 위치를 검증한다. 만약 홀 사이즈 정의를 만족하지 않는다면, 위치 검증을 하기 전에 이미 불량이 될 것이다. 위치 검증홀 위치를 검증하기 위해 데이텀 평면을 설정한 후 CMM 프로브를 홀의 트루포지션으로 이동한다. 공차가 MMC상태에서 정의되면 VC경계를 위반하지 않으면 된다. 거기서 극좌표를 측정하여 홀의 서피스가 VC.. 더보기
최종적으로 DRF의 자유도가 무엇이 남는지가 중요하다. 데이텀 피쳐에 의해 데이텀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텀의 종류에는 데이텀 점, 데이텀 선, 데이텀 면이 있다. 점, 선, 면은 기하학적 근본이 되는 요소이다. 각각의 데이텀은 가지고 있는 자유도가 다르고, 가지고 있는 자유도에 따라 제한되는 자유도가 달라진다. 먼저 데이텀 점을 살펴보자. 데이텀 점을 공간상에 놓으면 데이텀의 x좌표, y좌표, z좌표가 고정된다. 원점에 놓인 데이텀 점은 더이상 x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y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z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데이텀 점의 병진자유도는 완전히 제한된다. 하지만 공간상에 놓여진 데이텀 점은 여전히 u방향, v방향, w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데이텀 점의 회전자유도는 제한되지 않는다.다시 말해 데이텀 점을 공간상에.. 더보기
DRF는 자유도가 포함된 좌표시스템 3차원 공간에서 입체도형은 6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3차원 공간을 설명하기에 앞서 2차원 평면에서의 움직임을 먼저 살펴보자.모든 평면도형은 평면상에서 3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이를 두고 병진자유도 2개와 회전자유도 1개가 있다라고 한다.GD&T에서 모든 파트는 3차원 형상인 입체도형이다.따라서 3차원 공간에서 입체도형의 자유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3차원 공간은 서로 수직하는 평면 3개로 이루어진다. 2차원인 평면 3개로 이루어진다. 각 평면에서 병진이 2방향, 회전이 1방향으로 가능하다. 이를 단순히 더하면 병진은 6방향이 가능하지만, 중복되는 방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제외하면, 병진은 3방향이 가능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