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즈 피쳐 썸네일형 리스트형 초급 #07 사이즈 피쳐의 경계 : 외부경계와 내부경계 사이즈 피쳐는 사이즈 공차와 위치공차의 영향으로 2종류의 경계가 생성된다. 내부경계와 외부경계이다. 이름 그대로 내부경계는 안쪽에 있는 경계이고, 외부경계는 바깥쪽에 있는 경계이다. 안쪽과 바깥쪽으로 있는 것으로 구분된 경계로 내피쳐든 외피쳐든 상관없이 안쪽에 있는 경계는 내부경계고 바깥쪽에 있는 경계는 외부경계가 된다. 내부경계와 외부경계는 사이즈 피쳐의 공차가 어떤 재료조건에서 정의되었는지와 무관하게 일반적으로 생성되는 경계이다. ASME에서 내부경계와 외부경계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자.boundary, inner: a worst-case boundary generated by the collective effects of the smallest feature of size (MMC for .. 더보기 기초 #08 Rule #1 : ASME Y14.5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원칙 Rule #1이 왜 중요한가?기계설계나 제조업에 종사한다면 ASME Y14.5 표준을 한 번쯤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 표준에는 수많은 규칙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별히 중요한 두 가지 규칙이 있다. 바로 Rule #1과 Rule #2다. 오늘은 그 첫 번째인 Rule #1, 즉 엔밸로프 원칙에 대해 알아보자. Rule #1은 "사이즈 피쳐의 모양 통제에 대한 기본조건"을 다룬다. 쉽게 말해, 홀이나 핀과 같이 사이즈 피쳐의 모양이 통제되는 기본조건을 규정하는 규칙이다.엔밸로프 원칙의 핵심 내용ASME Y14.5-2018 표준에서 Rule #1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The surface or surfaces of a regular feature of size shall not exten.. 더보기 기초 #07 사이즈 피쳐의 이해 2 : 사이즈 피쳐의 성립조건 지난 글에서 사이즈 피쳐가 무엇인지 기본 개념을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좀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자. 어떤 형상이 사이즈 피쳐가 되려면 반드시 만족해야 하는 두 가지 조건이 있다. 이 조건들을 정확히 이해해야 실제 도면에서 사이즈 피쳐를 제대로 구분할 수 있다.첫 번째 조건: 사이즈 공차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사이즈 피쳐가 되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은 사이즈 공차가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게 생각보다 중요한 포인트다. 현장에서 일하다 보면 이런 경우를 자주 본다. 도면에 원형 구멍이 그려져 있고, 그 옆에 ‘∅20'이라고 적혀있다. 언뜻 보면 사이즈 피쳐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공차가 없기 때문이다. 진짜 사이즈 피쳐가 되려면 '∅20±0.1' 또는 '∅20+0.2/-0.1' .. 더보기 기초 #06 사이즈 피쳐의 이해 1 : 사이즈 피쳐의 기본 개념과 특징 GD&T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사이즈 피쳐'다. 하지만 사이즈 피쳐를 이해하지 못하면 GD&T 전체를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다. 사이즈 피쳐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자.사이즈 피쳐란 무엇인가?사이즈 피쳐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사이즈 공차가 정의된 피쳐’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단순히 크기를 가진 형상이 있는 것만으로는 사이즈 피쳐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드시 사이즈 공차가 정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부품에 홀이 있다고 해보자. 이 홀이 단순히 그림으로만 그려져 있다면 이는 사이즈 피쳐가 아니다. 하지만 도면에 ‘∅10±0.1mm'처럼 사이즈와 사이즈 공차가 함께 표시되어 있다면, 그때야 비로소 사이즈 피쳐가 .. 더보기 MMC 상태에서 공차를 정의하면 생기는 VC 경계 사이즈 피쳐를 규제하는 공차가 MMC 상태에서 정의되었을 때 VC 경계가 생성된다. VC 경계는 피쳐의 서피스가 침범해서는 안되는 경계로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다. 핀 사이즈 피쳐를 진직공차로 규제할 때, 공차를 MMC 상태에서 정의하면 VC라고 하는 가상경계를 생성한다. MMC를 재료조건으로 하여 정의된 진직공차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MMC를 재료조건으로 하여 공차가 정의되었을 때, MMC에 기하공차의 영향이 더해져 가상경계 VC가 생성된다. 가상경계 VC를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MMC와 공차영역의 조합이 최악이 되는 AME로 시각화하는 것이다. AME는 이론적으로 완벽한 기하학 형상이다. 홀이나 핀의 VC 경계는 완벽한 형상의 원통이다.핀과 같은 외피쳐라면 VC의 크기는 MMC 사이즈에 진직공차.. 더보기 사이즈 피쳐의 RMB 경계, MMB 경계, LMB 경계 사이즈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참조할 때 경계는 세 개 중 하나를 참조할 수 있다. RMB 경계, MMB 경계, LMB 경계이다. 사이즈 피쳐는 항상 세 종류의 경계가 있기 때문에 어떤 경계를 참조하고 있는지 명확하게 해야 한다. Rule #2에 의해 달리 명시된 것이 없으면, RMB 경계를 참조하게 된다.1차 데이텀 피쳐일 때1) RMB 경계 참조RMB 경계를 참조하면 데이텀 피쳐 시뮬레이터의 크기는 고정되지 않는다. 실제 피쳐의 사이즈에 따라 데이텀 피쳐 시뮬레이터의 크기가 달라진다.2) MMB 경계 참조MMB 경계를 참조하면 데이텀 피쳐 시뮬레이터의 크기는 피쳐의 재료가 최대가 되는 상태의 사이즈로 크기가 고정된다.3) LMB 경계 참조LMB 경계를 참조하면 데이텀 피쳐 시뮬레이터의 크기는 피쳐의 실.. 더보기 사이즈 피쳐의 재료조건 : LMC 공차가 LMC 상태에서 정의된 경우공차를 LMC 상태에서 정의하려면, 모디파이어 Ⓛ을 공차값 다음에 표기한다.LMC 모디파이어는 실제 홀이 LMC 상태로 제작되었을 때만 표기된 공차가 적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홀이 LMC 상태가 아닌 상태로 제작되었다면, 실제 피쳐의 사이즈와 LMC 상태의 사이즈의 차이만큼 위치공차가 추가적으로 허용된다. 위의 그림은 홀의 사양과 위치공차를 보여준다. 홀의 사이즈 범위는 Ø9.5에서 Ø10.5이고, 위치공차는 LMC 상태일 때 Ø0.5이다. 홀의 사이즈는 Ø9.5에서 Ø10.5 사이에서 제작되어야 한다.홀은 내피쳐이기 때문에 사이즈가 가장 클 때 실체가 가장 적다.따라서 홀이 LMC 상태가 될 때는 사이즈가 Ø10.5일 때이다. 위치공차가 LMC 상태에서 정의되었.. 더보기 사이즈 피쳐의 재료조건 : MMC 공차가 MMC 상태에서 정의된 경우공차를 MMC 상태에서 정의하려면, 모디파이어 Ⓜ︎을 공차값 다음에 표기한다.MMC 모디파이어는 실제 홀이 MMC 상태로 제작되었을 때만 표기된 공차가 적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홀이 MMC 상태가 아닌 상태로 제작되었다면, 실제 피쳐의 사이즈와 MMC 상태의 사이즈의 차이만큼 위치공차가 추가적으로 허용된다. 위의 그림은 홀의 사양과 위치공차를 보여준다. 홀의 사이즈 범위는 Ø9.5에서 Ø10.5이고, 위치공차는 MMC 상태일 때 Ø0.5이다. 홀의 사이즈는 Ø9.5에서 Ø10.5 사이에서 제작되어야 한다.홀은 내피쳐이기 때문에 사이즈가 가장 작을 때 실체가 가장 많다.따라서 홀이 MMC 상태가 될 때는 사이즈가 Ø9.5일 때이다. 위치공차가 MMC 상태에서 정의되었.. 더보기 사이즈 피쳐의 재료조건 : RFS 공차가 RFS 상태에서 정의된 경우재료조건을 나타내는 모디파이어가 없다면 공차는 RFS 상태에서 정의된 것으로 간주한다.이는 사이즈 피쳐의 실제 사이즈는 고려하지 않고 표기된 공차가 그대로 적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따라서 사이즈 피쳐의 실제 사이즈가 변하더라도 공차는 변하지 않는다. 그림은 홀의 사양과 위치공차를 보여준다. 홀의 사이즈 범위는 Ø9.5와 Ø10.5이고, 위치공차는 RFS 상태일 때 Ø0.5이다. 홀의 사이즈는 Ø9.5에서 Ø10.5 사이에서 제작되어야 한다.홀의 사이즈가 어떠하든 위치공차는 Ø0.5 허용된다.공차가 RFS 상태에서 정의되었기 때문에 홀의 실제 사이즈는 공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실제로 제작된 9개 파트의 홀을 살펴보자. 홀이 가장 큰 사이즈로 제작된 경우 아래 그림의 9..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