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텀 피쳐는 실제로 만질 수 있는 불완전한 표면이고, 데이텀은 그 피쳐로부터 생성된 완벽한 이론적 요소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모든 측정이 데이텀 피쳐가 아닌 데이텀을 기준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면, 완전히 이론적인 것을 기준으로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검사 과정에서 데이텀 시뮬레이션을 하게 된다. 이론적으로 완벽한 데이터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데이텀 피쳐가 만들어내는 완벽한 데이텀을 실제 물리적인 평판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이 말이나 저 말이나 비슷비슷한 말을 반복하는 것처럼 들릴 수 있겠지만 이들 사이의 구분을 명확하고 이해하는 것이 GD&T를 올바르게 해석하기 위해서 도움이 된다. GD&T가 실제 상황과 이론을 연결하기 때문에, 어디까지가 실제이고 어디까지가 이론인지 잘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과 같은 도면의 파트를 제작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바닥면이 데이텀 피쳐 A로 선정되었고, 그 데이텀 피쳐 A를 기준으로 윗면의 윤곽공차를 검증해야 한다.
데이텀 피쳐는 실제로 만질 수 있는 물리적인 불완전한 표면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또한 그 표면의 높은 점들에 의해 만들어진 데이텀은 만질 수 없는 이론적인 완벽한 평면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측정은 데이텀으로부터 이루어져야겠지만, 이는 실제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데이텀 시뮬레이터를 도입해야 한다.
데이텀 시뮬레이터는 거의 완벽에 가까운 평면으로 데이텀을 시뮬레이션한다. 하지만 이 시뮬레이터의 데이텀도 마찬가지로 만질 수 없고 완벽하다.
데이텀 피쳐와 데이텀 시뮬레이터가 접촉했을 때 데이텀과 시뮬레이션된 데이텀은 이론적으로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이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는 모든 위치 및 자세의 측정은 데이텀 시뮬레이터(평판, 정반)으로부터 직접 이루어진다. 데이텀 시뮬레이터인 화강암 정반이 완벽할수록, 이론적으로 완벽한 데이텀에 가까워지고, 측정은 이렇게 이론적으로 완벽한 데이텀으로부터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실제로 시뮬레이터 또한 불완전하기 때문에 파트의 데이텀과 시뮬레이터의 데이텀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데이텀은 가장 높은 점에 의해 생성되는데, 시뮬레이터의 미세한 홈에 파트의 돌출된 부분이 안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뮬레이터의 데이텀과 파트의 데이텀이 다르다고 해도 문제될 것은 없다. 시뮬레이터는 조립상황을 시뮬레이션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파트는 시뮬레이터와 유사한 상태에서 조립되어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시뮬레이터의 데이텀을 기준으로 파트의 윗면의 윤곽편차를 측정하고 평가해도 되고, 이는 파트의 기능을 충분히 반영한 검증이라고 할 수 있다.
'기하공차 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급 #04 사이즈 피쳐의 분류와 의미 (0) | 2025.05.12 |
---|---|
초급 #03 피쳐의 이해 3 : 피쳐의 유형과 종류 (0) | 2025.04.25 |
초급 #02 통제성분 : 기하공차로 통제하는 성분 (0) | 2025.04.17 |
초급 #01 기하학 기초 2 : 입체형상과 입체도형의 관계 (0) | 2025.04.16 |
초급 #25 평면서피스에 의한 DRF 구축과정 (2)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