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기초 #08 Rule #1 : ASME Y14.5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원칙 ASME Y14.5는 기본 원칙을 몇 개  규정하고 있다. 그 중 둘은 아주 중요해서 Rule #1과 Rule #2로 번호가 있다.Rule #1 :   사이즈 피쳐인 경우 모양조건의 기본을 규정.Rule #2 :  공차를 정의하는 재료조건의 기본을 규정.                 데이텀 피쳐를 참조할 때 참조하는 경계조건의 기본을 규정. 먼저 Rule #1을 설명한다. Rule #1은 엔밸로프Envelope 원칙이라고도 한다.The surface or surfaces of a regular feature of size shall not extend beyond an envelope that is a boundary of perfect form at MMC.ASME Y14.5-2018 - para 5... 더보기
기초 #07 사이즈 피쳐를 사이즈 피쳐답게 하는 경계 GD&T 체계에서 치수공차는 사이즈 피쳐의 사이즈 공차를 정의할 때만 사용한다. 홀, 핀, 슬롯, 레일과 같은 것들이 사이즈 피쳐에 해당한다.피쳐가 사이즈 피쳐라면 어떤 경계를 기준으로 재료가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다.  홀은 경계의 안쪽에 재료가 없고, 핀은 경계의 안쪽에 재료가 있다. 마찬가지로 슬롯은 경계의 안쪽에 재료가 없고, 레일은 경계의 안쪽에 재료가 있다. 경계를 기준으로 안쪽에 재료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경계안에 재료가 없으면 내피쳐라고 하고, 경계안에 재료가 있으면 외피쳐라고 한다. 만약 아래의 도면과 같이 사이즈 피쳐의 사이즈 공차를 정의하였다면, MMC 상태와 LMC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MMC 상태는 재료가 최대인 상태이고, LMC 상태는 재료가 최소인 상태이다.. 더보기
기초 #06 사이즈 피쳐(Feature of Size) 이해하기 사이즈는 특정 단위로 표현하는 숫자, 길이 치수의 값이다. 기하공차에서 핵심 개념은 각기 다른 사이즈 피쳐의 상태에서 기하공차를 명시할 할 수 있다. 기하공차는 사이즈 피쳐가 가장 클 때의 사이즈, 가장 작을 때의 사이즈, 실제 사이즈에서 공차를 정의할 수 있다.  사이즈 피쳐는 조금 특별하다. 사이즈 피쳐는 자신의 크기를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사이즈 피쳐를 표현할 수 있는 그 숫자를 사이즈라고 한다.사이즈 피쳐는 어떤 사이즈의 길이 치수 또는 각도 치수로 정의되는 기하학적 형상이다. 보통, 사이즈 피쳐는 원기둥, 구, 두 개의 평행평면, 원뿔, 쐐기이다. 그림은 사이즈 피쳐의 예이다. 사이즈 피쳐의 특징 사이즈 피쳐는 대응점이 있어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는 피쳐이다. 홀, 핀, 슬롯, 레일과 같은 .. 더보기
기초 #05 기하공차는 4개의 기하학적 속성을 통제한다. 실제로 제작된 피쳐는 항상 편차가 있다. 편차는 기하학적 속성에 따라 모양편차, 자세편차, 위치편차, 사이즈편차로 구분된다. 아래 그림은 이러한 속성을 보여준다. 어떤 종류의 기하공차로 규제하든지 기하공차는 피쳐의 기하학적 속성을 통제한다. 기하공차를 올바르게 정의하고 해석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하학적 속성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기하학적 속성 : 사이즈사이즈는 사이즈 피쳐가 가지고 있는 속성이다. 그렇다면 먼저 사이즈 피쳐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사이즈 피쳐는 대응점이 있어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는 피쳐이다. 홀, 핀, 슬롯, 레일과 같은 피쳐는 대응점이 있어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버니어 캘리퍼스의 머리부분으로 치수를 측정할 수 있다.. 더보기
기초 #04 피쳐란 무엇인가? [기하공차의 기본 단위인 FCF의 통제대상은 피쳐이다. 그렇다면 피쳐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feature : a physical portion of a part (such as a surface, pin outside diameter, hole, or slot) or its representation on drawings, models, or digital data files.ASME Y14.5-2018 - para 3.31 ASME Y14.5는 피쳐를 "파트의 물리적인 부분 또는 파트의 물리적인 부분이 도면, 모델, 또는 데이터 파일에 표현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물리적인 부분의 예로 서피스, 핀, 홀, 슬롯을 들고 있다. 먼저 서피스를 살펴보자. 입체는 항상 서피스로 이루어진다. 형상이 어떠.. 더보기
기초 #03 FCF를 읽는 방법 FCF를 읽을 수 있다면, FCF에 의해 피쳐가 어떻게 통제되는지 알 수 있다. 예시를 통해 FCF를 읽는 방법을 알아보자.일반적인 FCF의 구성FCF는 다음과 같이 4종류의 정보를 포함한다.1. 통제대상은 피쳐를 지시하여 나타낸다.2. 통제특성은 기하공차 종류 심볼을 표기하여 나타낸다.3. 통제정도는 공차영역을 정의하여 나타낸다.4. 통제기준은 기준으로 삼으려는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명시하여 나타낸다.예시1  ① 지시한 피쳐가 통제대상이 된다.② 특정 모양(평면)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한다. [통제특성]③ 공차영역의 형상은 평행면형이다. [통제정도:형상]④ 공차영역의 크기는 0.5이다. [통제정도:크기]예시2 ① 지시한 피쳐가 통제대상이 된다. [통제대상]② 특정 자세(수직)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한다. .. 더보기
기초 #02 GD&T의 기본요소 : FCF (피쳐 컨트롤 프레임) GD&T는 FCF(피쳐 컨트롤 프레임)에 기하공차를 정의한다. FCF는 피쳐 규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고, 양식이 정해져 있다. FCF에는 기하공차 종류, 공차 크기, 데이텀 피쳐에 대한 정보가 있고 이는 피쳐의 어떤 기하학적 특성을 얼마만큼 무엇을 기준으로 규제할 것인지 표현한다. GD&T는 FCF에서 시작하고, FCF는 GD&T의 기본이다.  GD&T를 이해하려면 먼저 FCF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FCF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살펴보자.1. 규제대상과 규제정보지시선으로 피쳐를 지시하여 피쳐와 FCF를 연결한다. 지시된 피쳐는 FCF의 주인이다. FCF의 내용에 따라 규제되는 대상이다. 2. 규제특성FCF의 첫번째 칸에는 규제대상의 어떤 기하학적 특성을 규제할 것인지 정의한다.이는.. 더보기
기초 #01 도면은 FCF부터 읽기 시작한다. 언어를 잘 사용하려면 먼저 언어의 기본 단위인 단어를 알아야 한다. GD&T는 언어이다. 따라서 언어의 기본 단위인 단어를 알아야 하는 것처럼 GD&T의 기본 단위인 FCF를 알아야 한다. 직소 퍼즐을 맞출 때를 생각해보자. 우리는 박스 앞면에 있는 전체 그림을 마음속에서 생각하면서 직소 퍼즐을 맞춘다. 하지만 한번에 하나의 퍼즐만 맞출 수 있다. 모든 퍼즐을 공중에 던져 한번에 맞출 수는 없다. 퍼즐 무더기 속에서 퍼즐을 집어들고, 올바른 자리를 찾는다. 올바른 자리를 모르겠다면, 무더기 속에 퍼즐을 넣고 다른 퍼즐을 집어든다. 퍼즐을 맞추려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할까? 퍼즐 하나를 집어야 한다. 집중해야 한다. 집어든 퍼즐과 박스 앞면의 그림을 비교해가면서 퍼즐의 올바른 자리를 찾아야 한다. 하지.. 더보기
데이텀 피쳐의 재료경계조건을 다르게 참조할 때의 효과 피쳐를 통제할 때, 기준이 되는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참조한다. 동일한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참조하더라도 재료경계를 다르게 참조하면 결과도 달라진다. 따라서 필요에 맞게 적절한 순서로 참조해야 한다. 다음은 위의 도면에 따라 제작된 서로 다른 파트 2개를 검증할 때 데이텀 피쳐의 재료경계를 다르게 참조하면 결과가 달라짐을 보여준다. 어떻게 위와 같은 결과가 발생하는지 단계별로 살펴보자. 원형 평판에 보스가 있고, 원형 평판에는 홀이 4개 있다. 이 홀의 위치를 통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평판의 뒷면을 데이텀 피쳐 A로 참조하고, 보스를 데이텀 피쳐 B로 선정한다. 이렇게 선정된 데이텀 피쳐를 기준으로 홀의 위치를 통제해보자. 보스는 사이즈 피쳐이다. 따라서 보스를 데이텀 피쳐로 참조할 때 RMB 경계.. 더보기
데이텀 피쳐의 순서를 다르게 참조할 때의 효과 피쳐를 통제할 때, 기준이 되는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참조한다. 동일한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참조하더라도 순서를 다르게 참조하면 결과도 달라진다. 따라서 필요에 맞게 적절한 순서로 참조해야 한다. 다음은 위의 도면에 따라 제작된 서로 다른 파트 2개의 위치공차를 검증할 때 데이텀 피쳐 참조순서를 다르게 하면 결과가 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어떻게 위와 같은 결과가 발생하는지 단계별로 살펴보자. 원형 평판에 보스가 있고, 원형 평판에는 홀이 4개 있다. 이 홀의 위치를 통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평판의 뒷면을 데이텀 피쳐 A로 참조하고, 보스를 데이텀 피쳐 B로 선정한다. 이렇게 선정된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여 홀의 위치를 통제해보자.다음과 같이 실제로 제작된 파트 2개가 있다. Case1과 Case 2.. 더보기
MMB 계산과 적절한 MMB 선택 데이텀 피쳐를 MMB 경계로 참조하면, TGC 크기는 고정된다. 이 크기는 상위 데이텀을 준수한 상태에서 사이즈 공차와 기하공차의 효과가 조합되어 정해진다. MMB를 물리적으로 시뮬레이션하려면 크기가 고정된 기계요소나 게이징 요소를 사용한다. 데이텀 피쳐의 MMB는 피쳐가 도면에 정의된 사이즈 공차와 기하공차를 만족한다면 피쳐가 절대 침범할 수 없는 경계를 나타낸다. 이는 VC경계와 비슷하지만, VC경계는 통제피쳐(기하공차의 대상이 되는 피쳐)에 적용되는 개념인 반면 MMB 경계는 참조피쳐(대상이 되는 피쳐를 위해 참조하는 피쳐)에 적용되는 개념이다. TGC 크기를 찾으려면 데이텀 피쳐를 규제하는 기하공차를 분석해야 한다. 데이텀 피쳐를 여러 개의 기하공차로 통제한다면, 데이텀 피쳐의 MMB는 여러 개.. 더보기
기하공차 해석하기 2 원하는 기능을 위해 피쳐를 적절하게 규제하는 도면을 "쓰는" 능력은 연습이 많이 필요하지만, 도면을 "읽는" 기본적인 능력은 약간의 연습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도면이 복잡해보이더라도 하나씩 차례로 각 표기의 의미를 파악하고, 각 표기들간의 관계를 이해하면 결국 전체 도면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① 파트의 뒷면 - 데이텀 피쳐 A 파트의 뒷면을 데이텀 피쳐 A로 선정하였다. 데이텀 피쳐 A는 다른 피쳐가 1차 데이텀 피쳐로 참조하고 있다. 이 파트는 다른 파트와 뒷면이 가장 먼저 닿으면서 조립될 것이고, 따라서 뒷면이 기능적으로 가장 중요할 것이다. 데이텀 피쳐 A는 평면서피스이다. 평면서피스는 데이텀 평면을 도출한다. 데이텀 피쳐 A를 참조한 피쳐는 도출된 데이텀 평면에 대해 기하학적 속성이 정의.. 더보기
ASME Y14.5-2018 번역자료 보내드립니다. ASME Y14.5-2018 번역자료 보내드립니다.제가 번역한 버전입니다. 그림은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림은 원문자료를 참고하세요.필요하신 분은 다음의 링크 양식을 작성하여 요청해주세요.https://forms.gle/6asTtdrbjRWu6iGJA *업데이트 안내- 보기 편하게 ASME Y14.5과 비슷하게 편집하였습니다.- 문장을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다듬었습니다.- 기존에 요청하셨던 분들은 메일 주시면 바로 보내드리겠습니다.   2024년 8월 23일 이후 메일을 받으신 분은 업데이트된 자료로 발송되었습니다. 더보기
불균일한 공차영역을 정의할 수 있는 윤곽공차 균일한 공차영역윤곽공차는 기본적으로 균일한 공차영역를 생성한다. 피쳐를 지시하고 윤곽공차를 정의하면 정의한 공차크기로 너비가 일정한 공차영역이 생성된다. 트루 프로파일과 공차영역을 생성하는 두 경계의 거리가 일정하여, 해당영역 전체에 걸쳐 균일한 크기의 공차영역이 생성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균일하지 않은 공차영역을 정의해야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몇 가지 방법이 있다.구간에 따라 공차를 다르게 정의하는 비트윈 심볼 "↔︎"비트윈 심볼 ↔︎을 사용하면, 피쳐의 구간을 나누어 구간마다 공차를 다르게 정의할 수 있다. 점, 선, 피쳐를 지시하고 구간을 문자로 식별한다. FCF의 지시선은 공차가 적용되는 부분을 지시한다. 구간을 나타내는 문자와 심볼 "↔︎"은 FCF의 아래 표기한다.아래 그림은 윤곽공차 .. 더보기
불균등한 공차영역을 정의할 수 있는 윤곽공차 윤곽공차는 달리 명시한 것이 없다면 트루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균일한 공차영역을 생성한다. 따라서 윤곽공차에 의해 양쪽으로 너비가 같은 공차영역이 생성된다. 공차영역의 총너비는 정의한 윤곽공차의 크기와 같다. 따라서 트루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정의한 윤곽공차의 반이 각각 배정된다. 서피스 또는 서피스 요소는 정의한 공차영역에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트루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동일하지 않은 공차를 정의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심볼 Ⓤ를 사용하면 트루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동일하지 않게 불균등한 공차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심볼 Ⓤ 다음에 표기한 공차는 재료바깥쪽 방향으로 배정되는 공차를 정의한다. 따라서 다음 그림과 같이 공차를 정의하면 윤곽공차 전부가.. 더보기
치수와 공차를 정의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유효공차 아래와 같은 파트가 있다고 했을 때 서피스 M와 서피스 N의 거리는 치수와 공차를 정의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어떻게 달라지는지 하나씩 살펴보자. GD&T 체계에서는 서피스의 위치를 통제하기 위해 치수공차를 사용하지 않지만 비교를 위해 치수공차와 기하공차를 모두 설명한다. 치수공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호성은 다루지 않는다.1.  치수공차치수공차체계에서는 아래와 같이 크게 3가지 방법으로 치수를 정의한다. 기준치수법은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치수를 정의하고, 체인치수법은 치수를 서로 연관시켜 정의하고, 직접치수법은 규제하고자 하는 치수를 직접 정의한다.  치수공차체계에서는 치수에 공차를 정의한다. 공차는 직접 정의할 수도 있고, 노트나 도면의 타이틀 블럭에 간접적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직접 .. 더보기
베이직 치수로 정의 했을 때와 일반 치수로 정의 했을 때의 차이 다음과 같이 정의된 도면이 있다. 한쪽은 동일한 치수가 베이직 치수로 정의되고 다른 한쪽은 동일한 치수가 일반치수로 정의되어 있다.두 경우는 같을까? 다를까?  (본 글에서 일반 치수는 베이직 치수와 구분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합니다.) 이 두 경우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먼저 데이텀 피쳐를 참조했을 때의 효과를 설명하고, 다음으로 베이직 치수를 정의했을 때의 효과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치수를 베이직 치수로 정의했을 때와 일반치수로 정의했을 때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한다.데이텀 피쳐를 참조했을 때 효과 : 공차영역 자유도 제한아래 그림에서 (가)와 (나)는 동일하게 윤곽공차 0.5를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두 경우는 동일하게 너비가 0.5인 공차영역을 생성한다. (가)와 (나)의 차이.. 더보기
기하공차 해석하기 1 원하는 기능을 위해 피쳐를 적절하게 규제하려면 많은 연습이 필요하지만, 도면을 "읽는" 기본적인 능력은 약간의 연습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다음 예제는 이러한 연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기하공차 표기를 하나씩 해석하고 설명한다.① 파트의 앞면 - 데이텀 피쳐 A파트의 앞면을 데이텀 피쳐 A로 선정하였다.도면에 정의된 기하공차 중 일부가 데이텀 피쳐 A를 1차 데이텀 피쳐로 참조하고 있다. 앞면을 데이텀 피쳐로 선정한 걸로 보아 다른 파트와 앞면에서 접촉할 것이다. 따라서 뒷면보다는 앞면이 기능적으로 더 중요할 것이다. 데이텀 피쳐 A를 참조하고 있는 피쳐는 데이텀 피쳐 A의 상태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데이텀 피쳐 A의 기하학적 속성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데이텀 피쳐 A는 평면공차 0.1.. 더보기
DRF가 같을 때와 다를 때 FCF의 세번째 칸부터는 참조하는 데이텀 피쳐를 표기한다. 데이텀 피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고, 데이텀 피쳐의 순서는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첫번째 데이텀 피쳐가 1차 데이텀 피쳐이고, 두번째 데이텀 피쳐가 2차 데이텀 피쳐이고, 세번째 데이텀 피쳐가 3차 데이텀 피쳐이다.1차 데이텀 피쳐는 자신이 제한할 수 있는 모든 자유도를 제한한다.2차 데이텀 피쳐는 자신이 제한할 수 있는 자유도 중에서 1차 데이텀 피쳐에 의해 아직 제한되지 않은 모든 자유도를 제한한다.3차 데이텀 피쳐는 2차 데이텀 피쳐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제한할 수 있는 자유도 중에서 상위 데이텀 피쳐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모든 자유도를 제한한다. FCF에 참조된 데이텀 피쳐에 의해 DRF가 생성된다. DRF는 서로 수직한 세 개의 평면으.. 더보기
유튜브] Understanding GD&T 유튜브에서 기하공차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영상을 공유합니다. 제가 제공한 자막이 서비스되니 자동번역이 아닌 한국어로 설정해서 보세요. Understanding GD&T 더보기
MMC(또는 LMC)에서 정의된 기하공차는 서피스 관점에서 평가한다. 홀의 사이즈와 위치를 다음 도면과 같이 통제하려고 하려고 한다.실제로 다음과 같이 제작된 홀이 정의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도면은 홀에 대해 두 가지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있다. 사이즈 요구사항과 위치 요구사항이다. 홀은 이 두 가지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해야 하다고, 둘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한다면 홀은 필요한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않는 것이다. 사이즈 요구사항은 홀이 ∅19.7과 ∅20.3 사이의 사이즈여야 할 것을 요구한다.위치 요구사항은 홀이 트루 포지션에 위치하고 크기가 ∅1.0인 공차영역에 위치할 것을 요구한다. 여기에 더해 위치공차는 MMC에서 정의되었다. 1) 사이즈 요구사항홀의 사이즈는 ∅20±0.3으로 정의되었다. 따라서 홀의 사이즈가 ∅19.7과 ∅20.3안에 .. 더보기
윤곽공차가 통제하는 속성 : 사이즈&모양&자세&위치 만약 홀의 자세와 위치도 통제해야 한다면, 다음 그림과 같이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여야 한다.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게 되면 트루 프로파일은 데이텀을 기준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트루 프로파일은 데이텀 A에 대해서는 90°만큼 기울어져 있고, 데이텀 B에 대해서는 30만큼 떨어져 있고, 데이텀 C에 대해서는 25만큼 떨어진 자세와 위치에 고정된다.  트루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생성되는 공차영역도 데이텀을 기준으로 고정된다.  데이텀 피쳐가 참조되지 않은 경우에는 윤곽공차를 만족했지만 데이텀 피쳐가 참조되어 공차영역의 위치가 고정되면 다음과 같이 제작된 피쳐는 모두 윤곽공차를 만족하지 않게 된다. 피쳐의 서피스는 위치가 고정된 공차영역안에 있어야만 윤곽공차를 만족한다. 더보기
윤곽공차가 통제하는 속성 : 모양&자세&위치 기본적으로 윤곽공차는 모양을 통제한다.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면 자세와 위치도 통제한다. 따라서 윤곽공차가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지 않으면 공차영역의 자세와 위치는 고정되지 않지만, 윤곽공차가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면 데이텀 피쳐에 의해 공차영역의 자세와 위치가 고정된다.          그림을 보면 위쪽 곡면에 윤곽공차 1.0이 적용되어 있다. 곡면은 데이텀 피쳐 A에 대해 위치가 베이직 8으로 정의되고, 데이텀 피쳐 B에 대해서는 R16의 중심은 베이직 0으로 정의되어 있다. 곡면의 공차영역 너비는 1.0이다. 이 너비는 베이직한 위치에 베이직한 형상인 트루 프로파일을 중심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동일하게 나누어 진다. 공차영역은 참조한 데이텀 피쳐에 의해 회전과 병진이 제한된다. 따라서 공차영역은 곡면서피스.. 더보기
D형 홀을 통제하는 방법 윤곽공차만으로 통제하기D형 홀을 통제하기 위해 아래 그림과 같이 윤곽공차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윤곽공차에 의한 공차영역의 위치는 데이텀에 대해 고정된다. 윤곽공차와 위치공차를 함께 사용하여 통제하기D형 홀을 통제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아래 그림과 같이 윤곽공차와 위치공차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윤곽공차 1.0은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트루 프로파일의 위치는 고정되지 않는다. 트루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생성되는 공차영역의 위치도 고정되지 않는다. 반면 위치공차 1.2는 MMC에서 정의되고 데이텀 피쳐 3개를 참조하고 있다. 따라서 위치공차에 의해 생성되는 VC경계는 DRF에 대해 회전과 병진이 구속된다. 윤곽공차에 의해 생성된 MMB와 위치공차의 공차값으로 위치공차 요구사항이.. 더보기
윤곽공차가 통제하는 속성 : 사이즈&모양 윤곽공차로 피쳐의 모양과 사이즈를 함께 통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선윤곽공차와 면윤곽공차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통은 면윤곽공차를 사용한다.그림은 D형 홀이다. 이러한 형상의 홀은 보통 스위치와 커넥터가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 커버에서 사용한다. 홀의 플랫면은 스위치나 커넥터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스위치나 커넥터가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의 모양과 사이즈를 통제할 필요가 있다. 그림의 윤곽공차는 모양과 사이즈만 통제한다. 윤곽공차는 데이텀 피쳐를 참조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피쳐의 위치와 자세는 통제되지 않는다. 홀의 지름은 ∅30이고, 플랫면과 홀의 바닥과의 거리는 25이다. 이 치수는 베이직 치수로 정의한다. D형 홀의 형상은 베이직 치수로 정의되었다. 홀에는 윤곽공차가 .. 더보기
끼워맞춤 형태 : 여유맞춤, 천이맞춤, 간섭맞춤, 정렬맞춤 부품은 보통 끼우고 맞추어 조립한다. 이런 끼워맞춤은 여러 종류가 있다. 부품 사이에 여유가 있으면서 조립되면 이를 여유맞춤이라고 한다. 이는 슬립맞춤, 클리어런스맞춤, 틈새맞춤, 헐거운맞춤이라고도 한다. 부품 사이가 여유없이 끼워맞추면 이를 간섭맞춤이라고 한다. 이는 강제맞춤, 억지끼워맞춤, 인터피어런스맞춤이라고도 한다. 여유맞춤과 간섭맞춤 정도는 다시 다양한 등급으로 나누어진다. 부싱은 쉽게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여유맞춤으로 조립되고, 라이너는 간섭맞춤으로 끼워맞춰져 반영구적으로 조립된다. 맞춤은 허용차가 있다. 허용차는 홀의 최소 크기와 핀의 최대 크기의 차이이다. 양의 허용차는 피쳐 사이의 여유가 있고 음의 허용차는 피쳐 사이에 간섭이 있다. 여유맞춤 (Clearance Fit)핀이 홀보다.. 더보기
치수공차체계에서는 치수를 정의하는 방법에 따라 공차가 달라진다. GD&T 체계에서는 위치치수에 대해 치수공차를 정의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위치치수에 치수공차를 정의했을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위치치수에 치수공차를 정의하는 경우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위치치수에 치수공차를 정의하려면 먼저 위치치수를 정해야 한다. 위치치수를 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무수히 많다. 하지만 그 중에 대표적인 세 가지 경우를 살펴본다. 각각의 방법에 따라 치수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이제, 각각의 치수에 동일하게 ±1의 공차를 적용하겠다. 실제로 제작된 파트에서 서피스 M과 서피스 N 사이의 거리는 얼마까지 허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자.각각의 경우에 서피스 M과 서피스 N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게 허용될까? 먼저 체인치수법을 살펴보자. 체인치수법에 따르면 서피.. 더보기
치수와 공차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책의 내용을 개략적으로 알려면, 목차를 살펴보면 된다. 목차는 책이 어떤 방향으로 쓰여졌는지 알려준다. ASME Y14.5-2018 목차는 Y14.5-2009와 비교하여 많이 변경되었지만, 방향은 동일하다. 치수에 관한 내용과 공차에 관한 내용을 분명하게 나누어 다루고 있다. 내용을 자세히 보면 치수에 관한 내용을 다루는 섹션의 모든 예제에는 공차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 오로지 치수에 관한 내용만 다루고 있다.   치수공차를 사용하면서 치수와 공차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엄밀하게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치수와 공차가 거의 같은 것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기하공차를 사용하기 전에 치수는 항상 치수공차로만 정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치수는 늘 공차를 포함하고 있거나 포함해야 했다. 따라서.. 더보기
기하공차의 문제가 아니라 측정수의 문제 기하공차가 적용되면 부품을 더 엄밀하게 검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와 같은 생각이 맞는지 살펴보자.아래의 그림은 블록의 두께를 규제하는 두 가지 방법을 보여준다.  왜 기하공차를 적용하면 부품을 더 타이트하게 검사해야 한다고 생각할까?먼저 사이즈 공차는 서피스의 모든 점을 각각 측정했을 때 최소 사이즈인 9.7보다 작으면 안되고 서피스 전체는 사이즈가 10.3인 완벽한 형상의 엔밸로프를 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윤곽공차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면 서피스에 있는 모든 점이 9.7과 10.3안에 있어야 한다.두 경우 모두 서피스의 모든 점을 측정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따라서 충분하다고 확신할 수 있을 정도의 포인트를 검사하면 된다.더 많은 포인트를 검사할수록 검사신뢰도는 높아진다. 사이즈.. 더보기
도면에 영향을 주는 사람들 제품 설계는 조직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각각의 부서는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다. 제품 설계는 이러한 서로 다른 목표들을 통합하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목표를 효과적으로 소통하지 못하면, 조직은 비효율적이 된다. 목표가 무엇이며, 어떤 목표를 위한 설계인지 명확하게 할 때까지 시간과 돈이 소모될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업무 목표와 함께 다른 부서의 업무 목표도 이해하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설계 엔지니어는 치수와 공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들이 치수와 공차를 정의하기 때문이다. 설계 의도를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도면작성표준을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공차를 너무 작게 정의하면 요구사항을 지나치게 제한하게 되어 생산비용이 증가된다. 반대로 공차를 너무 크게 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