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SME Y14.5

GD&T 요약 (1페이지) GD&T의 기본 내용을 한 페이지에 요약했습니다. 더보기
기초 #21 데이텀 피쳐의 식별 피쳐의 자세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데이텀 피쳐가 필요하다면, 도면에 이를 나타내야 한다. 이는 데이텀 피쳐로 사용할 피쳐를 데이텀 피쳐 심볼로 나타낸다. 데이텀 피쳐 심볼은 아래와 같다. 데이텀 피쳐는 도면에서 위와 같은 심볼로 나타낸다. 데이텀 피쳐 심볼은 네모 안에 문자를 표기하고 이를 삼각형으로 끝나는 지시선과 연결한다. 삼각형은 채워도 되고 비워도 된다. 네모 안의 문자는 데이텀 피쳐 문자이다. 데이텀 피쳐는 서피스 피쳐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이즈 피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무엇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배치가 달라진다. 따라서 데이텀 피쳐 심볼의 배치 방식을 알아야 한다. 아래 그림은 동일한 부품이지만 데이텀 피쳐 A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왼쪽 그림은 데이텀 피쳐 심볼이 부품의 플랜지 뒷면을.. 더보기
기초 #09 피쳐의 이해 2 : 서피스와 피쳐 >기하공차는 피쳐를 통제한다. 따라서 먼저 피쳐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피쳐를 생각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부품의 서피스를 피쳐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피쳐는 서피스이며, 기하공차는 서피스를 통제한다. 아래 부품에서 서피스는 무엇을까? 피쳐는 무엇일까?서피스는 이미 존재하는 것.서피스는 부품을 구성하는 단위로, 부품이 존재하는 한 언제나 존재한다. 서피스는 기하공차로 통제하기 전에도 이미 존재한다. 서피스는 부품의 물리적 외형, 즉 부품에 존재하는 표면을 말한다. 부품을 설계하거나 부품을 제작하고 나면 서피스, 즉 부품의 “외형”은 저절로 생긴다. 설계자가 “이것은 서피스다”라고 지정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생겨난다. 서피스는 부품이 생겨나는 동시에 자연스럽게 생긴다. 심지어 실제로 제작하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