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T로 통제할 때 보통은 다음 그림과 같이 모든 자유도가 구속된 상태로 정의하고 통제한다.
하지만 GD&T는 기능에 따라 공차영역의 자유도까지 이용할 수 있다. 부품은 기능에 따라 모든 자유도를 구속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부 자유도만 제한하여도 충분한 경우가 있다. 일부 자유도만 제한하였을 때 부품의 형상은 어떻게 될 수 있는지 데이텀 피쳐 A, B, C를 참조할 수 있는 7가지 경우를 각각 살펴보자.
1) DRF_A
2) DRF_AB
3) DRF_AC
4) DRF_ABC
5) DRF_B
6) DRF_C
7) DRF_BC
'기하공차 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급 #16 Rule #1의 실제 적용과 검사방법 (0) | 2025.09.03 |
---|---|
초급 #15 도면은 기능요구사항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0) | 2025.08.21 |
초급 #14 6자유도란? (11) | 2025.08.11 |
초급 #13 자유도를 구속하는 이유 (8) | 2025.08.04 |
초급 #12 1차 데이텀 피쳐에 의한 자유도 제한 (0) | 202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