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공차 종류를 나타내는 심볼은 통제하려는 기하학적 속성(사이즈, 모양, 자세, 위치)을 더 구체적이고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각각의 기하공차가 구체적으로 어떤 기하학적 속성을 통제하는지 살펴보자.
진직공차 : 선이 수학적으로 완벽한 직선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평면공차 : 면이 수학적으로 완벽한 평면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진원공차 : 선이 수학적으로 완벽한 원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진통공차 : 면이 수학적으로 완벽한 원통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경사공차 : 선(또는 면)이 어떤 기준에 대해 수학적으로 완벽한 특정 기울기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수직공차 : 선(또는 면)이 어떤 기준에 대해 수학적으로 완벽한 특정 기울기 중 하나인 수직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평행공차 : 선(또는 면)이 어떤 기준에 대해 수학적으로 완벽한 특정 기울기 중 하나인 평행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원주흔들림공차 : 회전으로 이루어진 선(원)이 그 회전중심에 대해 수학적으로 완벽한 원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전체흔들림공차 : 회전으로 이루어진 면(원통)이 그 회전중심에 대해 수학적으로 완벽한 원통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선윤곽공차 : 선이 수학적으로 완벽한 윤곽선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기준이 있다면 그 기준에 대해 완벽한 윤곽선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면윤곽공차 : 면이 수학적으로 완벽한 윤곽면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기준이 있다면 그 기준에 대해 완벽한 윤곽면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위치공차 : 면과 면의 중심요소가 어떤 기준에 대해 수학적으로 완벽한 특정 자세 또는 특정 위치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
기하공차는 서피스를 구성하는 선이나 서피스 자체인 면이나 그 면의 중심요소를 통제한다. 모든 기하공차는 수학적으로 완벽한 어떤 상태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한다. 기하공차의 종류에 따라 통제하는 상태가 달라진다. 또한 기하공차는 종류에 따라 기준이 있을 수 있고 그 기준에 대해 특정한 상태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한다.
모든 선은 선윤곽공차로 통제할 수 있고, 모든 면은 면윤곽공차로 통제할 수 있다.
만약 회전 중심을 가지고 있다면 흔들림공차로 통제할 수 있다.
만약 위치는 통제하지 않고 자세만을 통제하고 싶다면 자세공차로 통제할 수 있다.
만약 특정한 기하학적 상태인 직선, 평면, 원, 원통으로 통제하고 싶다면 모양공차로 통제할 수 있다.
만약 중심축, 중심평면, 중심점과 같은 중심요소를 도출할 수 있다면 위치공차로 통제할 수 있다.
어떤 종류의 기하공차로 통제할 것이냐는 먼저 어떤 상태를 통제하고 싶은지에 따라 정해진다. 그리고 통제하려는 대상인 선인지 면인지 중심요소를 도출할 수 있는지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자세만을 통제하고 싶은데 위치공차로 규제하거나 회전중심이 없는데 흔들림공차로 규제할 수는 없다.
'기하공차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15 3차원의 공차영역을 생성하는 기하공차 (0) | 2024.11.12 |
---|---|
기초 #14 기하공차로 다양한 형상의 공차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0) | 2024.11.12 |
기초 #12 기하공차는 12종류가 5분류로 나누어진다. (2) | 2024.11.12 |
기초 #11 기하공차는 무엇을 통제하는가? (1) | 2024.11.12 |
기초 #10 기하학 기초 1 : 점, 선, 면 (0) |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