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의 위치공차는 경계 2개를 만든다. 하나는 내부경계이고, 하나는 외부경계이다. 홀은 사이즈 정의에 의해 MMC 사이즈와 LMC 사이즈로 한계 사이즈가 정해진다. 그리고 위치공차에 의해 한계 위치가 정해진다. 홀이 한계 사이즈이면서 한계 위치에 있는 모든 경우를 시각화할 수 있다.
먼저 외부경계는 홀이 LMC 사이즈이면서 한계 위치에 있는 모든 경우를 겹쳐보았을 때 얻어진다.
홀의 사이즈 정의에 따라 홀의 LMC 사이즈는 Ø10.5이다. 홀의 위치공차는 Ø0.5로 정의되었기 때문에 홀은 트루 포지션에서 Ø0.5까지 벗어날 수 있다. Ø10.5인 홀은 위의 그림과 같이 한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모든 경우를 겹쳐보면 다음과 같다.
모든 경우를 겹쳐보면 홀의 사이즈와 위치 정의에 의해 생기는 외부경계를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경계는 홀이 MMC 사이즈이면서 한계 위치에 있는 모든 경우를 겹쳐보았을 때 얻어진다.
홀의 사이즈 정의에 따라 홀의 LMC 사이즈는 Ø10.5이다. 홀의 위치공차는 Ø0.5로 정의되었기 때문에 홀은 트루 포지션에서 Ø0.5까지 벗어날 수 있다. Ø10.5인 홀은 위의 그림과 같이 한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모든 경우를 겹쳐보면 다음과 같다.
모든 경우를 겹쳐보면 홀의 사이즈와 위치 정의에 의해 생기는 내부경계를 알 수 있다.
홀의 사이즈와 위치 정의에 따라 홀은 어떠한 경우에도 외부경계 바깥으로 넘어갈 수 없고, 홀은 어떠한 경우에도 내부경계 안으로 들어올 수 없다. 외부경계와 내부경계는 홀의 한계경계이다.
'기하공차 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완필요] 항상 채워져 있어야 하는 절대영역을 정의하는 VC경계 (0) | 2024.02.06 |
---|---|
[보완필요] 항상 비어 있어야 하는 절대영역을 정의하는 VC경계 (0) | 2024.02.05 |
MMC 상태에서 공차를 정의하면 생기는 VC 경계 (0) | 2024.02.03 |
사이즈 피쳐의 재료조건 : LMC (0) | 2024.01.30 |
사이즈 피쳐의 재료조건 : MMC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