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를 잘 사용하려면 먼저 언어의 기본 단위인 단어를 알아야 한다. GD&T는 언어이다. 따라서 언어의 기본 단위인 단어를 알아야 하는 것처럼 GD&T의 기본 단위인 FCF를 알아야 한다.
직소 퍼즐을 맞출 때를 생각해보자. 우리는 박스 앞면에 있는 전체 그림을 마음속에서 생각하면서 직소 퍼즐을 맞춘다. 하지만 한번에 하나의 퍼즐만 맞출 수 있다. 모든 퍼즐을 공중에 던져 한번에 맞출 수는 없다. 퍼즐 무더기 속에서 퍼즐을 집어들고, 올바른 자리를 찾는다. 올바른 자리를 모르겠다면, 무더기 속에 퍼즐을 넣고 다른 퍼즐을 집어든다. 퍼즐을 맞추려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할까? 퍼즐 하나를 집어야 한다. 집중해야 한다. 집어든 퍼즐과 박스 앞면의 그림을 비교해가면서 퍼즐의 올바른 자리를 찾아야 한다. 하지만 집중하지 않으면, 생각은 흩어진다. 결국 포기한다. 끝까지 집중한 사람만이 직소 퍼즐을 완성할 수 있다.
직소 퍼즐이라면 퍼즐 하나를 집어들면 된다. 책이라면 첫 장부터 읽으면 된다. 노래라면 처음부터 들으면 된다. 하지만 그림이라면? 왼쪽 귀퉁이부터 볼 것인가? 가운데부터 볼 것인가?
이제 도면을 읽을 때를 생각해보자. 우리는 도면의 전체적인 의미를 생각하면서 도면을 읽는다. 하지만 한번에 하나의 정보만 읽을 수 있다. 도면에 표기된 것 중 하나를 읽기 시작한다. 의미를 생각해 본다. 의미를 모르겠다. 다른 부분을 읽기 시작한다. 도면을 읽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무엇부터 읽을지 결정해야 한다. 읽기 시작한 것이 이해가 안되면, 다시 다른 것을 읽을 것이다. 도면을 읽으려면 집중해야 한다.
무엇에 집중해야 할지 모른 채 도면을 보고 있는 모습에서, 결국 도면을 읽어내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매우 조금만 이해하고서는 마치 도면을 모두 이해한 것처럼 행동한다.
도면은 무엇부터 읽어야 할까? FCF에서 시작한다. FCF는 지시하고 있는 피쳐의 무엇을 얼마나 통제되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첫번째 칸은 피쳐의 무엇을 통제할지 알려준다. 두번째 칸은 피쳐를 얼마나 통제할지 알려준다. 세번째 이후의 칸은 무엇을 기준으로 통제할지 알려준다.
FCF를 읽은 다음에는 참조한 데이텀 피쳐를 찾는다. FCF에서 참조하고 있는 데이텀 피쳐가 무엇인지 해당 데이텀 피쳐 심볼로 식별된 피쳐를 찾는다. 데이텀 피쳐도 다른 피쳐와 마찬가지로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통제해야 한다. 따라서 그 다음으로 데이텀 피쳐가 어떻게 통제되고 있는지 데이텀 피쳐를 통제하는 FCF를 확인한다.
'기하공차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06 사이즈 피쳐(Feature of Size) 이해하기 (0) | 2024.11.12 |
---|---|
기초 #05 기하공차는 4개의 기하학적 속성을 통제한다. (0) | 2024.11.12 |
기초 #04 피쳐란 무엇인가? (3) | 2024.11.12 |
기초 #03 FCF를 읽는 방법 (0) | 2024.11.12 |
기초 #02 GD&T의 기본요소 : FCF (피쳐 컨트롤 프레임) (2) | 2024.11.12 |